작성
·
79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스프링 핵심 원리를 듣고, 이제 스프링 MVC 강의에서 서블릿 컨테이너에 대한 강의를 들었는데요.
제가 지금까지의 내용을 종합했을 때 이해한 게 맞는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많이 미흡하지만ㅠㅠ 위와같이 그림을 그려봤는데요.
스프링 프레임워크 내부에 내장 톰캣 서버인 WAS와 스프링 컨테이너(IoC 컨테이너) 이렇게 크게 2가지로 구성되어있다고 이해했는데 맞을까요? 그리고 위의 그림처럼 WAS인 내장 톰캣 서버 내부에 서블릿 컨테이너가 있는게 맞을까요?
그래서, 하나의 Request가 왔을 때 > WAS인 톰캣에서 Request와 Response 객체를 생성하고 > 그 객체들을 서블릿 컨테이너에 있는 서블릿 객체에 전달하고 > 스프링 컨테이너에 빈으로 등록된 Controller 객체에 넘겨서 비즈니스 로직을 진행하고 > 리턴을 다시 서블릿 컨테이너로 넘겨서 HTTP 응답까지 내보낸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그리고, 최초 로딩 시점에 서블릿 객체가 생성되는 기준이 /hello 이렇게 path 별로 생성이 되는걸까요?
그렇다면 만약 HelloController에 3개의 다른 path 메서드가 있다면 > 3개의 서블릿 객체가 생성되나요?
답변 1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ajdsasld님이 질문하신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서블릿 컨테이너에 대한 구조와 흐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스프링 부트는 기본적으로 내장 톰캣(WAS인 Web Application Server)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톰캣은 웹 요청/응답 처리를 담당하는 서블릿 컨테이너 역할을 하게 됩니다. 즉,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들어오면 가장 먼저 이를 처리하여 Servlet Request
와 Servlet Response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이 시작됩니다.
WAS(내장 톰캣):
Servlet Request
와 Servlet Response
객체를 생성합니다.서블릿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IoC 컨테이너):
Controller
객체들이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합니다.응답 흐름:
Controller
는 서비스를 호출한 후 결과를 서블릿 컨테이너로 다시 전달하고, 이를 통해 WAS는 최종 HTTP 응답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돌려보냅니다.(Spring Mvc Application)
에 설정된 여러 URL 요청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모든 요청을 관리합니다.이와 같은 내용을 확인하시려면 다음과 같은 기존 질문들을 참고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