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이준기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준기

작성한 질문수

네이버, 카카오 임직원들이 듣고 있는 비트코인 강의

4. 작업증명 (합의알고리즘 작업증명이 필요한 이유)

블록의 증명에 걸리는 시간

해결된 질문

작성

·

158

·

수정됨

1

4번째 작업증명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평균 블록을 생성하는데 10분 정도 걸리도록 난이도를 조정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렇게 블록이 만들어지고 이를 다른 노드에 전송하여 블록의 검증이 이뤄지면 체인이 만들어진다고 이해 했습니다.

그런데 강의 내용에 보면 블록이 하나 만들어지고 최종 확정을 얻으려면 그 뒤에 블록이 몇개 더 만들어 져야 한다는 의미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답변 2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이준기님께서 블록의 증명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질문해 주셨네요. 비트코인 시스템에서 블록이 최종적으로 확정되기 위해 추가적인 블록 생성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비트코인의 블록체인에서 블록이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고 간주되기 위해서는 보통 6개의 후속 블록이 체인에 추가되어야 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1. 체인 안정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분산되어 있고 동시에 여러 채굴자가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가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블록이 동시에 추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트코인은 ‘Longest Chain Rule’을 사용합니다. 즉, 가장 긴 체인을 진짜 체인으로 인정합니다. 따라서 추가 블록이 생성되면서 체인이 길어지게 되면 오히려 체인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2. 51% 공격 방지: 블록이 추가될수록 과반수 공격(51% 공격)을 통해 블록을 변경하는 것이 더 어려워집니다. 6개의 확인(confirmation)을 기다리는 과정은 이러한 공격의 위험을 줄입니다.

  3. 확정성 증가: 새로운 블록이 추가될 때마다 이전 블록의 확정성이 증가하므로 블록이 바뀌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 링크에서 더 자세하게 이해하실 수 있는 관련된 논의를 확인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0

대니월드님의 프로필 이미지
대니월드
지식공유자

아래 인프런 AI 인턴 답변을 참고하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AI 인턴 정말 답변 잘하네요?

이준기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준기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