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58
·
수정됨
1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던 중 궁금한게 생겨 질문드립니다.
인터섹션 타입은 교집합이라고 하셨는데, 교집합은 '두 집합이 공통으로 소유하는 원소들의 집합' 이 아닌가요? 그러면 아래 예시에서는 'name' 값만 교집합에 해당할 것 같은데 왜 name, color, language 가 다 들어가는건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합집합 아닌가요?
type Dog = {
2 name: string;
3 color: string;
4};
5
6type Person = {
7 name: string;
8 language: string;
9};
10
11type Intersection = Dog & Person;
12
13let intersection1: Intersection = {
14 name: "",
15 color: "",
16 language: "",
17};
답변 3
0
0
안녕하세요 이정환입니다.
객체 타입의 교집합은 공통된 프로퍼티를 갖는 값이 아닌, 두 객체 타입에 공통으로 포함될 수 있는 값을 의미합니다. 예시로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어떤 객체가 Dog 타입에 포함되려면 다음 조건을 갖춰야 합니다.
name(string 타입) 프로퍼티가 있어야 한다.
color(string 타입) 프로퍼티가 있어야 한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Dog 타입에 포함되는 값은, name(stirng)과 color(string)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동일한 논리로, 어떤 객체가 Person 타입에 포함되려면 다음 조건을 갖춰야 합니다.
name(stirng 타입) 프로퍼티가 있어야 한다.
language(stirng 타입) 프로퍼티가 있어야 한다.
이 역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Person 타입에 포함되는 값은 name(string)과 language(string)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자 그럼 이제 Dog 타입에도 포함되고, Person 타입에도 포함되는 객체는 어떤 조건을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name(string 타입) 프로퍼티가 있어야 한다.
color(string 타입) 프로퍼티가 있어야 한다.
language(string 타입) 프로퍼티가 있어야 한다.
위 조건들을 한 문장으로 줄이면 다음과 같겠습니다.
"Dog와 Person 타입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값은, 즉 교집합에 해당되는 값은 name(string)과 color)(string) 그리고 language(string)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객체 타입간의 교집합은 공통된 프로퍼티를 갖는 값이 아닌, 두 객체 타입에 명시된 모든 프로퍼티를 갖는 값이라는 사실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민수연님.
타입스크립트에서 인터섹션(교집합) 타입은 두 타입의 프로퍼티를 모두 포함하여 새로운 타입을 만들어냅니다. 일반적인 집합의 교집합과는 다르게, 타입스크립트에서는 각 타입의 모든 프로퍼티를 모두 가져와서 하나의 복합 타입을 생성합니다.
인터섹션 타입(Dog & Person
)은 Dog
타입과 Person
타입의 모든 프로퍼티인 name
, color
, language
를 포함합니다. 이 방식은 타입의 각 원소들이 모든 프로퍼티 조건을 만족해야만 함을 의미합니다. 즉, 인터섹션 타입은 모든 속성을 포함하여 다른 타입의 조합을 허용합니다.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타입 시스템에서 타입 안전성과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타입스크립트에서는 각 타입에 완전히 속함을 요구하기 때문에 ‘name’과 같은 공통 프로퍼티 외에 color
와 language
도 포함되는 것이 맞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그렇다면 number & string 일 경우엔 왜 never 타입으로 추론되나요? number 와 string을 모두 가져야 하지 않나요? 일반 타입과 객체 타입간의 차이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