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수하님의 프로필 이미지
수하

작성한 질문수

보통 검증이 필요한 대상은 요구사항으로 전달되나요 ?

작성

·

31

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류를 제출하면 그에 맞는 금액을 통장으로 넣어준다"

라는 기능이 있을 때,

  1. 사용자가 서류를 제출했는지 확인

  2. 금액은 최소 1000원 이상이어야 한다.

  3. 사용자 명의의 통장이 존재하는지 확인.

 

등과 같은 검증 대상은 회사에선 요구사항으로 전달되나요?

프로젝트 진행할 때 개인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이런 검증 대상을 추출하는 것과 에러 메시지 작성하는 부분이거든요 ㅠㅠ

 

혹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검증 종류가 (ex 돈을 다룬다면 ~~는 꼭 검증해야한다) 따로 있는지,

아니면 그냥 회사 다니면서 경험치 쌓으면서 배우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ㅠ ㅠ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수하님,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보통 프로젝트에서 검증해야 할 사항들은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확인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류를 제출했는지 확인하는 것, 금액이 특정 범위를 넘어야 하는 것, 통장이 유효한지 확인하는 것 등은 프로젝트 요구사항을 통해 전달받게 됩니다. 이런것들은 보통 비즈니스 로직의 핵심 부분으로 요구사항이나 디자인 문서에 명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개발 경험이 쌓이다 보면 자주 검증해야 하는 부분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금액을 다룰 때는 항상 금액의 범위, 통화 일치 여부 등을 검증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사용자 정보를 다룰 때는 입력 값의 유효성, 데이터 존재 여부 등을 항상 체크해야 합니다.

에러 메시지 작성을 포함해 검증 대상 추출을 처음부터 잘하기란 어렵습니다. 경험을 쌓으면서 점차적으로 개선되고, 회사의 코드 리뷰나 동료와의 협업을 통해 스스로 배우게 됩니다.

또한, Spring Boot와 같은 프레임워크에서는 Bean Validation 이라는 기능을 통해 유효성 검사를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Validated@Size 등의 애노테이션을 활용하여 코드를 읽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Spring Boot 관련 문서에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 궁금한 점이 있거나 도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세요!

수하님의 프로필 이미지
수하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