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23
답변 2
0
예. 인프런 ai의 설명처럼 sum = oreder.price * oreder.quantiy;
이렇게 하면 for문을 돌릴때 마다 sum의 값이 계속 바뀝니다. (이유는 sum 이라는 변수에는 값을 하나만 저장할수 있기 때문)
forEach문에(sum = oreder.price * oreder.quantiy;
밑에)
이 코드 System.out.println("결제액 : " + sum);
를 추가해보시면 더 이해하기 쉬울 거에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mm4884님.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sum += order.price * order.quantity;
는 sum = sum + order.price * order.quantity;
와 동일한 표현입니다. 이 코드는 각 상품 주문에 대한 가격을 합산하여 sum
변수에 저장합니다.
만약 sum = order.price * order.quantity;
로 작성되면, 루프 안에서 sum
의 값이 단순히 현재 order
의 금액만 저장하게 됩니다. 따라서 반복문이 마지막 인덱스의 order
까지 돌았을 때 그 값만 반환하게 되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마지막 인덱스의 총 결제 금액 3000이 반환되는 것입니다.
이와 비슷한 질문은 다음 게시글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 기본형과참조형 문제풀이 질문입니다.
이 게시글에서는 변수 초기화 및 명확한 메서드 사용에 대한 충고를 하고 있으며, 여러 번 사용할 일이 없다면 변수 사용을 줄여도 괜찮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시 한번 요약하자면, +=
연산자 없이 =
로만 할당하면 매 반복마다 sum
이 초기화되어 현재 인덱스의 주문 금액만 저장된다는 점을 기억해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