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84
0
안녕하세요. 지금 강의 초반을 듣고 있는데요.
질문 1. 회사에서 ELK stack 을 application log 모니터링 도구로 도입하려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어떤 요구사항에 맞는 리포트로서 visualization 을 이용하려고 도입하려 합니다.
rough 하게 학습한 내용으로는 elasticSearch 에서는 index 간 join 해서 search 를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kibana 를 이용하면 multi index 간의 join 이 가능할까요?
구체적인 요청사항을 예로 말씀드리면
가령 dogs 라는 index 가 있고, men 이라는 index 가 있다고 가정할 때, 어떤 개가 (dog) 어떤 사람 (man) 의 반려견인지, (서로 같은 key value 를 가지고 있다면) 주인이 있는 개 인지 아닌지.. 주인이 없는 개는 전체의 몇 %인지 등을 visualization 하고 싶습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junha.park님,
Elasticsearch에서는 밑에 AI가 얘기한 것처럼 기본적으로 index 간 join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Elasticsearch는 RDB처럼 join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 중복을 감수하고 index를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를 Document Denormalization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dogs
와 men
데이터를 하나의 document로 저장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
"dog_name": "Buddy",
"owner_name": "John",
"owner_id": 123
}
이렇게 하면 하나의 index에서 바로 검색이 가능하므로 주인이 있는 개 vs 없는 개
비율을 쉽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밑에 말한 것처럼 Kibana에서 Vega(데이터 시각화 DSL) 또는 Lens를 사용하여 두 개의 index를 조합해서 분석할 수 있다고 하는데 제가 안해봐서 뭐라 말씀을 못 드리겠네요.
https://www.elastic.co/guide/en/kibana/current/vega.html 한번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unha.park님.
Elasticsearch에서는 일반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처럼 직접적으로 인덱스 간 조인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Multi-index 간의 직접적인 조인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Kibana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요구 사항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필드 병합을 통한 데이터 인덱싱:
dog
인덱스에 owner_id
필드를 추가하고 man
인덱스에도 같은 owner_id
를 유지하여 양쪽의 데이터를 인덱싱합니다. 이를 통해 쿼리할 때 필드를 기준으로 서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Kibana의 Vega 플러그인 활용:
데이터 프로세싱 도구 사용:
관련 질문에 대한 추가적인 자료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얻고자 하신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 Elasticsearch에서 인덱스 간 데이터 처리 방법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좀 더 study 를 한 다음에 확인해 봐야 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