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김지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지성

작성한 질문수

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6-J

6-J 질문드립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49

·

수정됨

0

https://www.acmicpc.net/source/share/d3badefb105540ecba6f33175becc56c

해당 코드에서 hi = 1e12로 바꾸니 정답처리가 됩니다.

그리고 큰돌님 코드에서 max_n을 대략 1e17로 바꾸니 오답이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왜 크기가 더 커진다해서 오답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큰돌님의 프로필 이미지
큰돌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지성님 ㅎㅎ

오버플로때문에 오답이 되는 것 같습니다.

 

    for (int i = 0; i < m; i++)
    {
        mx += mid / arr[i];
        if (mid % arr[i] == 0)
        {
            cnt++;
        }
    }

이부분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되는 것 같습니다.

m은 1만(1e4)이기 때문에 mx가 최악의 경우 long long이 커버하는 2 * 1e18보다 큰수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ex) 1e17/2 * 1e4 > 2 곱하기 1e18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지성님.

코드에서 hi 값을 변경할 때 발생하는 오답의 원인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와 관련된 문제는 주로 이진 탐색(혹은 다른 탐색 기법)을 사용하는 알고리즘에서 상한값(hi)의 설정이 연산의 정확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발생합니다.

이진 탐색에서의 상한값 설정 원리:
1. 연산 범위 설정: 검색하는 범위(lo부터 hi까지)는 문제의 조건이나 가능한 결과 값에서 들어맞아야 합니다. hi가 너무 크다면 필요 이상 많은 탐색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시간 초과 혹은 오버플로우와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1. 자료형 한계: long long 자료형이 지원하는 최대값을 넘기는 경우 다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산 중간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면 예상치 못한 값 때문에 로직이 틀린 결과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2. 불필요한 연산의 증가: 값이 너무 크다면 이진 탐색 과정에서 불필요한 연산이 증가하며 이를 통해 결과의 정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보통 입력 데이터의 최대 값을 기준으로 상한값을 설정하는 것이 안정적인 방법입니다.

관련된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유사 질문을 참고해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김지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지성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