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값타입을 엔티티로 승급하면
작성
·
86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창신동 장첸님.
JPA에서 값 타입과 엔티티의 차이점에 대해 질문을 주셨네요. 값 타입과 엔티티를 이해하는 것은 JPA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엔티티와 값 타입의 차이
- 엔티티: 고유 식별자(ID)가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매핑됩니다. 엔티티는 다른 엔티티와 관계를 가질 수 있고, 그 속성을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정 가능한 객체로 다룹니다.
- 값 타입: 데이터베이스에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다른 엔티티에 포함되어 사용됩니다. 자바의 객체로 보면 일종의 복합 데이터타입이며, 주로 재사용 가능하고 식별자를 가지지 않습니다. 값 타입은 불변 객체로 설계하는 것이 좋고, JPA에서는 대체하거나 전체 값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취급합니다.
질문의 핵심
값 타입이든 엔티티든, 수정을 할 때는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임베디드 타입이나 컬렉션 값 타입은 불변성 원칙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값을 변경하는 대신 새로운 객체를 생성해 대체하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수정 가능한 데이터라는 것은, 엔티티에서는 자유롭게 데이터 수정을 지원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값 타입은 불변 객체로 설계하는 것이 권장되는 이유로 수정보다는 대체를 권장합니다. 이때 임베디드 타입이나 컬렉션 값 타입의 경우는 특히 그렇습니다.
아래 관련된 질문과 답변들을 확인하면 더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하실 것입니다:
- 값타입과 엔티티 차이 고민 - 엔티티와 값 타입의 차이점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하고 있습니다.
- 값 타입이라는건 결국 엔티티 객체 안에 포함된다 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 엔티티와 값 타입의 관계에 대해 설명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