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35
답변 2
0
그러면 UDS 규격에서는 정해진 바는 없고, 완성차업체 기준으로 엔디안을 정해서 사용하면, 한국 기준으로는 현대 기아차가 그 엔디안 규격을 정하겠네요. 그러면 같은 만약에 하드웨어 상으로 같은 부품이더라도 한 완성차 업체가 빅엔디안을 다른 완성차 업체는 리틀 엔디안을 요청하면 UDS 스택이 여러개로 나눠질 가능성이 있겠네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박성진님.
UDS(Unified Diagnostic Services)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엔디안 문제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셨군요. 일반적으로, 많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내장된 미세 컨트롤러의 아키텍처에 따라 리틀 엔디안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진단 프로토콜 및 통신 프로토콜에서는 데이터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종종 빅 엔디안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UDS에서는 특정 엔디안 규칙이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 데이터 전송 시 요구사항은 종종 오퍼레이션 환경 및 제조사 규격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인 경우, 표준적인 통신 요구사항에 맞추어 빅 엔디안을 사용하거나, OEM(완성차업체)에서 제시한 사양에 따라 설정됩니다.
이 주제와 관련된 추가적인 설명 및 정보는 아래의 비슷한 질문 및 답변을 통해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위 링크를 통해 UDS 데이터 전송 시 엔디안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엔디안에 대해서 사실 고민을 안해봤는데 찾아봤는데 특별히 언급된 것을 찾지 못했습니다. 결국 프로젝트마다 규격을 정해야 될 듯합니다. 개인적 경험상으로는 항상 빅엔디안으로 표시하긴 했습니다.
(데이터가 예를들어 0x123456이면 캔메세지 msb부터 12 34 56 에 담기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