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77
·
수정됨
0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http://boj.kr/b4692bffb8eb44339d7b992dfa6f30a2
안녕하세요. 선생님 제가 위의 코드와 같이 함수를 좀 놔눠서 해봤는데 시간 초과가 떴습니다. 그래서 다시 함수를 없애고 DFS코드에 몰아 넣으니 정답이 되었구요. 코테에서 함수는 DFS같이 가장 중복되거나 하는 코드를 제외하고 최대한 적게 만드는게 낫나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답변 3
0
안녕하세요 우진님 ㅎㅎ
보통은 이렇게 모듈화를 했다고 시간초과가 나진 않지만 이문제가 조금은 시간초과가 타이트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제가 한번 시간초과가 안나게끔 만들어봤는데요. 모듈화 + 함수에 인자를 넘길 때 call by reference로 넘기게 되면 조금은 빨라집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algorithm>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dx[4] = { -1, 0, 1, 0 };
int dy[4] = { 0, -1, 0, 1 };
bool CheckPos(int x, int y, int n, vector<vector<int>>& visited)
{
if (y < 0 || y >= n || x < 0 || x >= n) return false;
if (visited[y][x]) return false;
return true;
}
bool CheckCity(int l, int r, int a, int b)
{
int c = abs(a - b);
if (c >= l && c <= r)
return true;
return false;
}
int dfs(vector<vector<int>>& vec, vector<vector<int>>& visited, vector<pair<int, int>>& citys, int n, int l, int r, int y, int x)
{
int sum = vec[y][x];
for (int i = 0; i < 4; ++i)
{
int nx = x + dx[i];
int ny = y + dy[i];
if (CheckPos(nx, ny, n, visited) && CheckCity(l, r, vec[y][x], vec[ny][nx]))
{
visited[ny][nx] = 1;
citys.push_back({ ny, nx });
sum += dfs(vec, visited, citys, n, l, r, ny, nx);
}
}
return sum;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out.tie(NULL);
int n, r, l, ret = 0;
cin >> n >> l >> r;
vector<vector<int>> vec(n, vector<int>(n, 0));
vector<vector<int>> visited(n, vector<int>(n, 0));
vector<pair<int, int>> citys;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cin >> vec[i][j];
}
}
while (true)
{
fill(visited.begin(), visited.end(), vector<int>(n, 0));
bool flag = false;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if (visited[i][j] == 0)
{
citys.clear();
citys.push_back({ i, j });
visited[i][j] = 1;
int sum = dfs(vec, visited, citys, n, l, r, i, j);
if (citys.size() == 1) continue;
for (pair<int, int> &p : citys)
{
vec[p.first][p.second] = sum / (int)citys.size();
}
flag = true;
}
}
}
if (flag == false)
break;
ret++;
}
cout << ret << '\n';
return 0;
}
참고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이렇게 모듈화 해도 괜찮습니다. 잘 짜셨어요 ㅎㅎ
감사합니다.
0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최우진님.
시간 초과 문제는 알고리즘의 효율성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함수 호출은 약간의 오버헤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특히 재귀적으로 많이 호출되는 함수의 경우 그 오버헤드가 누적될 수 있습니다. DFS(깊이 우선 탐색)와 같은 알고리즘에서는 이러한 함수 호출 오버헤드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DFS 등 재귀가 많은 알고리즘의 경우, 여러 작은 함수를 호출하는 것보다 주요 로직을 하나의 함수에 모아서 구현하는 것이 시간 절약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함수 호출 시 스택에 저장되는 정보 등을 줄이는 데 유리합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최적화는 코드의 가독성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코드를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업에서는 코드의 유지보수성도 중요한 요소이므로,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관련된 유사 질문과 답변을 링크해드리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간초과 문의”: endl
대신 \n
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입출력 효율성을 개선한 예시입니다.
“2-F 시간 초과 질문”: 재귀 호출 최적화와 반복문으로의 변환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 정보를 바탕으로 코드의 효율성을 개선해 보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문제를 해결한 다른 사용자의 답변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와아.... 확실히 CALL BY REFERENCE를 이용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어야했네여!! 감사합니다 선생님!! 열심히 들을게요! 곧 오는 설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