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92
0
private void syncTraceId() {
TraceId traceId = traceIdHolder.get();
if (traceId == null) {
traceIdHolder.set(new TraceId());
} else {
traceIdHolder.set(traceId.createNextId());
}
}
private void syncTraceId() {
if (traceIdHolder.get() == null) {
traceIdHolder.set(new TraceId());
} else {
traceIdHolder.set(traceIdHolder.get().createNextId());
}
}
강의 중에는 위 쪽처럼 코드를 작성해주셨는데
아래에 작성한 코드 처럼 TraceId
객체를 바로 get()
으로 가져오지 않고,
별도의 traceId
를 만들어 사용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traceIdHolder
가 ThreadLoacl<TraceId>
타입인데
traceIdHolder.set(new TraceId());
로 값 변경은 바로 하시는데 값을 가져오는 건 다른 방식인 것 같아서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황설탕님!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ThreadLocal
을 사용하여 동시성 문제를 해결할 때 코드의 작성 방식에 따라 조금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두 코드 모두 ThreadLocal<TraceId>
타입의 traceIdHolder
를 사용하여 각 스레드에 대해 TraceId
객체를 관리합니다.
private void syncTraceId() {
TraceId traceId = traceIdHolder.get();
if (traceId == null) {
traceIdHolder.set(new TraceId());
} else {
traceIdHolder.set(traceId.createNextId());
}
}
첫 번째 방식은 traceId
를 지역 변수로 가져와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traceId
라는 명확한 이름을 사용하여 코드 읽기가 쉽고, 중복 호출을 피할 수 있습니다.
private void syncTraceId() {
if (traceIdHolder.get() == null) {
traceIdHolder.set(new TraceId());
} else {
traceIdHolder.set(traceIdHolder.get().createNextId());
}
}
두 번째 방식은 traceIdHolder.get()
메서드를 두 번 호출합니다. 이 방식은 코드가 약간 덜 명확할 수 있지만, 한 번의 코드 라인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ThreadLocal
에 접근하는 것이 비용이 큰 작업은 아니지만, 같은 결과를 두 번 호출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두 코드는 결과적으로 같은 동작을 하지만, 첫 번째 방식이 조금 더 주석 없이도 의도를 파악하기 쉬운 장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TraceId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이 링크에서는 TraceId와 관련된 다른 질문과 답변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어 더욱 깊이 있는 이해를 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