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71
답변 2
0
안녕하세요 ㅎㅎ
이런식으로 표현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a[i][j] = 1, a[i][j + 1] = 1라는 표현이 j ~ j + 1까지의 가로선을 그음을 표현한다고 치면
a[i][j] = 1, a[i][j + 1] = 1일 때 a[i][j + 2] = 1이 되지 않는다.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강사 큰돌 올림.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js270402님, “두 가로선이 연속하면 안 된다”는 사다리 조작 문제에서 중요한 조건입니다. 이 조건을 코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가로선을 추가할 때, 바로 이전 가로선이 있던 위치를 확인하여 조건에 맞지 않는 곳에 가로선을 배치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a
, b
)를 확인합니다.b
위치에 가로선을 놓는다면, 다음의 조건을 점검합니다:a
줄에서 b-1
위치에 이미 가로선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있다면 놓을 수 없습니다.a
줄에서 b+1
위치에 이미 가로선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 또한 같은 이유로 가로선을 놓을 수 없습니다.이러한 조건은 보통 2차원 배열 상태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코드 상에서 아래와 같이 확인합니다:
// ladders 배열은 2D 배열로, 가로선의 존재를 기록합니다.
if (ladders[a][b] == 0 && ladders[a][b-1] == 0 && ladders[a][b+1] == 0) {
// 가로선을 놓을 수 있음
ladders[a][b] = 1;
}
이와 같은 조건 검사를 통해 두 가로선이 연속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혹시 유사한 문제에 대한 실제 예제가 필요하시다면, 직접적으로 관련된 질문과 답변은 없지만, 사다리 조작 문제 해결을 위한 일반적인 접근에 대해 다른 학습자의 질문을 참고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