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od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odark

작성한 질문수

쿠버네티스 설치에 관한부분

작성

·

28

1

강의를 보는데 vagrant를 사용해서 하더라구요...이건..그냥 무조건 vmware에 자동으로 다 설치해주는거잖아요...

실무에 가면 aws를 써서 eks 할수있고, google이나 azure등 csp사 manage 쿠버를 사용할수있을것이고
managed 서비스이용안하면 클라우드 환경에서 각 인스턴스들을 이용해서 설치할텐데
지금 vagrant도 모르는마당에 주신 스크립트로 로컬에서 쿠버환경이 생성이 된들..

제가 그걸가지고 실무에서 뭘 어떻게 설치 하겠습니다. 인터뷰를 봐도 쿠버 환경 구성 가능하냐고 물어볼텐데...

정작 알고싶은부분이 이부분인데...이걸 다 어떻게 해야하는지..이강의를 통해 다 정리되어있는지...어떻게 접근하고 공부해야하는지부터 감이 안옵니다.
저는 일단 각 클라우드 환경에서 쿠버 설치해보고 싶고, 그런다음 온프레미스 또는 vm에서 해보고 싶은데...어떻게 하면되나요? 이게 저는 중요하다고 봅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odark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처럼,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Kubernetes 서비스(AWS EKS, Google Kubernetes Engine, Azure Kubernetes Service 등)를 사용하는 것과 직접 인스턴스들을 설정하여 Kubernetes를 설치하는 방법은 다릅니다. 실제로 클라우드 환경과 온프레미스에서 Kubernetes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경험은 매우 중요하죠.

  1. Vagrant 및 로컬 환경 이해:
    Vagrant는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동일한 개발 환경을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과정을 통해 기본적인 가상화 및 네트워크 개념을 익힐 수 있습니다. Kubernetes를 로컬에서 설치해보며 SSH를 통해 노드에 접근하는 법과 kubectl 명령어를 익힐 수 있습니다.

  2. 클라우드 환경에서 Kubernetes 설치:

    • AWS EKS: AWS Management Console을 통해 쉽고 간단하게 클러스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GKE 또는 AKS: Google Cloud 및 Azure Portal을 통해 관리형 Kubernetes 클러스터를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온프레미스 또는 VM 환경에서 Kubernetes 실습:
    Kubernetes의 kubeadm 툴을 이용하여 직접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과정 통해 Kubernetes의 구조와 프로세스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가상화 환경에서 진행한다면, 다양한 시나리오를 테스트해볼 수 있어 매우 유익합니다.

  4. 실무 접근법 및 학습 방법:
    다양한 환경에서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경험을 먼저 쌓는 것이 좋습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하는 튜토리얼이나 Quickstart를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각 환경에서 설치 경험을 쌓아가며 Kubernetes의 기본 개념과 구조를 이해하게 될 것이고, 이를 통해 실무에서도 자신 있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입니다. 자체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추가로, Spring Boot 공식 문서에서 관련 정보를 통해 더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od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odark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