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김윤섭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윤섭

작성한 질문수

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자바의 hashCode()

실무에서의 hash(), hashCode() 차이가 궁금합니다

작성

·

166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섹션 7 hashCode()에 영상에선 IDE로 equals() hashCode() 생성시 hashCode()의 리턴으로 hash(id)가 생성되는데

저는 hashCode(id) 로 생성이 됩니다

또 섹션8 Set 문제 2에서는 강의와 똑같이 hash()로 생성이 됩니다

구글링으로 매개변수의 차이, 동작 차이와 결과값이 왜 다른지에 대해 이해는 했는데

섹션7의 자동생성이 다른 이유와 실무에선 이 둘이 어떤차이로 쓰이는지 아니면 그냥 생성해주는 대로 쓰는지 에 대해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윤섭님,

hash()hashCode()의 차이점과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Objects.hash(Object... values) 메서드는 여러 개의 값을 받아 이들의 해시 코드를 조합하여 반환합니다. 이는 여러 속성을 함께 고려해야 할 때 유용하며, 주로 복합 객체의 해시 코드를 생성할 때 사용됩니다.

반면에, Objects.hashCode(Object obj) 메서드는 단일 객체의 해시 코드를 반환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는 주로 단일 필드 또는 객체 자체의 해시 코드를 얻을 때 사용됩니다.

IDE가 생성해주는 코드의 차이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IDE의 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Objects.hash()는 복수의 필드를 기반으로 최종 해시 코드를 생성하고, Objects.hashCode()는 단일 필드를 대상으로 할 때 사용되므로, 어떤 것을 사용할지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실무에서는 IDE가 생성해주는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수정하여 특정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능 최적화나 특정 조건에 맞는 로직을 구현해야 할 때는 커스텀 해시 코드를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유사한 질문에 대한 기존의 답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Generate로 hash 생성시, hash()와 hashCode()”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김윤섭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윤섭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