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김윤환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윤환

작성한 질문수

개발 공부 책 vs 웹 서핑

작성

·

41

0

현재 스프링과 대략적인 JPA를 통해 타임리프를 사용해서 MAU 웹 프로젝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현재 스프링 시큐리티를 적용했지만 구글링으로 찾아서 적용하느라 게시물 작성, 삭제는 로그인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만들었고 추후 부족한 기술 스택이 문제인데요

 

제가 나중에 도커와 자바스크립트 등 어떤 책을 살지 정하고 공부할 생각인데 다른 책들까지 합하면 2000P는 기본 넘는 상황이죠 대학교도 다니는 상태고 따로 공부하면서 책에 분량은 버겁지 않고 기간이라는 단점만 갖고 있는데 주변에서 이야기를 통해 굳이 책을 통해서 배우지 말고 빠르게 웹이든 유튜브든 해당 지식을 찾아서 프로젝트에 적용하라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되면 프로젝트에 적용할 지식과 프로젝트 완성도는 높아지겠지만 저는 기본적으로 기술을 사용할 때 전체적인 내용을 조금이라도 알아야 마음이 편한데 어떻게 할지 고민 중입니다.

 

여러분들은 가령 웹을 만들 때 사용했던 기술들 혹은 현재 배우고 있는 기술 스택의 공부는 책이나 강의를 통해서 배우고 적용하시나요? 아니면 구글에서 해당 지식을 찾고 프로젝트에 적용하면서 공부하시나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윤환님, 프로젝트 진행 중에 기술 학습 방법에 대한 고민이 많으시군요.

현재 스프링과 JPA, 타임리프 등을 활용하여 웹 프로젝트를 진행하시면서 스프링 시큐리티도 적용하셨다니 이미 많은 부분을 공부하신 것 같습니다. 기술 스택을 넓히는 것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접근 방식을 고려해보실 수 있습니다.

  1. 책이나 강의를 통한 체계적인 학습:

    • 책이나 정식 강의를 통해 학습할 경우, 기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체계적인 내용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는 해당 기술의 기본적인 철학과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다만,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고 대학교 공부와 병행한다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2. 구글링 및 웹 리소스를 통한 실용적인 학습:

    • 실전적인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부분만 빠르게 학습하여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지식을 검색하여 적용하는 것은 실용적이고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그러나 기술의 전반적인 이론적 기반을 이해할 기회는 줄어들 수 있습니다.

김윤환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기술을 사용할 때 전체적인 내용을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싶다면 제안드리고 싶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서 보완: 특정 기술에 대해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한 책을 골라 핵심 부분을 살펴보고, 세부 내용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구글 검색이나 유튜브를 통해 보충해 나가는 것입니다.
  2. 참조 문서 활용: 스프링과 관련된 많은 문서들이 참조하기 쉽도록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Spring Boot Reference Documentation은 다양한 기능과 예제를 통해 안내합니다.

위 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전체적인 이해도와 실용적인 사용 경험 둘 다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본인의 학습 스타일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공적인 프로젝트 진행을 기원합니다!

김윤환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윤환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