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83
·
수정됨
0
교집합 타입(intersection)을 설명하실 때 해당 그림으로 설명해주셔서 두 개의 타입에서 공통적으로 갖고있는 프로퍼티만을 추출하는 것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라 부분집합 개념으로 보는게 맞는거죠?? 그러니까 Dog타입도 충족하고, Person타입도 충족하는 객체(name, color, language프로퍼티를 모두 갖고있는 객체)여야만 type Intersection = Dog & Person;
로 선언된 변수에 할당이 가능한 것처럼요..
type Dog = {
name: string;
color: string;
};
type Person = {
name: string;
language: string;
};
그러면 위의 타입이 있을때, 제가 처음에 생각했었던 두 개의 타입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타입 즉, name프로퍼티만 갖고있는 타입을 생성하려면 어떻게 하면될까요??
답변 2
1
안녕하세요 이정환입니다.
네 맞습니다. 타입을 프로퍼티가 아닌 값의 집합으로 바라보셔야 합니다. 따라서 두 객체 타입 간의 교집합은 두 객체 타입의 프로퍼티간의 교집합이 아닌 값의 교집합이기 때문에 두 타입에 모두 포함되는 값이 정의됩니다.
이어서 프로퍼티간의 교집합을 만들고 싶으시다면 별도로 정의해주시면 됩니다. 보통 제시해주신 상황과 같은 경우에는 향후에 배우실 인터페이스와 상속개념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타입을 정의 하곤 합니다.
interface BaseType {
name: string;
}
// BaseType의 프로퍼티를 모두 상속받습니다. (name 프로퍼티 자동으로 생김)
interface Dog extends BaseType {
color: string;
}
// BaseType의 프로퍼티를 모두 상속받습니다. (name 프로퍼티 자동으로 생김)
interface Person extends BaseType {
language: string;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gga01075님.
교집합(Intersection) 타입에 대한 오해가 약간 있으셨던 것 같네요. 타입스크립트에서 교집합(intersection) 타입은 두 타입의 모든 프로퍼티를 다 포함하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Dog & Person
타입은 name
, color
, language
프로퍼티를 모두 포함하는 타입입니다.
타입스크립트의 교집합은 논리적으로 두 타입을 합쳐서 모든 프로퍼티를 포함하는 타입을 생성합니다. 이 개념은 부분집합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두 타입의 조합으로, 둘 다 충족하는 객체를 사용하는 데 적합합니다.
두 타입에서 공통된 프로퍼티, 즉 name
프로퍼티만 갖고 있는 타입을 추출하려면 수작업으로 프로퍼티를 정의하거나, 유틸리티 타입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수작업으로 정의할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type CommonProperties = {
name: string;
};
그러나 더 동적으로 다루고자 하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ypeScript에서는 Extract
유틸리티를 직접 제공하진 않지만, 아래와 같이 사용자 정의 타입으로 흉내낼 수 있습니다:
type ExtractCommon<T, U> = {
[K in keyof T & keyof U]: T[K];
};
type Common = ExtractCommon<Dog, Person>;
이렇게 하면 Common
타입은 name: string
으로 정의됩니다.
유사한 질문이 다루어진 게시글 링크:
- 교집합 타입 질문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