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ConversionService와 Formatter 역할
작성
·
115
·
수정됨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정리를 하자면 아래와 같은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ConversionService
HTTP 요청 파라미터(문자) → 타입에 맞는 객체로 변환
객체 → HTML 렌더링을 위한 문자로 변환
Formatter
숫자/날짜 → 지정된 형식의 문자열로 변환 (예: 10000 → "10,000")
형식화된 문자열 → 객체로 변환 ("2024-10-19 14:05:57" → localDateTime 객체)
답변 1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yummngi님
질문하신 내용은 ConversionService와 Formatter의 역할에 대한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ConversionService와 Formatter의 역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ConversionService
ConversionService는 주로 문자열 형식의 HTTP 요청 파라미터를 원하는 객체 타입으로 변환하고, 객체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HTML에 렌더링 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Formatter
Formatter는 주로 숫자나 날짜를 특정 포맷의 문자열로 변환하거나, 포맷된 문자열을 다시 숫자나 날짜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예를 들어,10000을"10,000"의 형식으로 변환하거나,"10,000"을 다시10000으로 변환합니다.
Formatter는 ConversionService와 함께 사용되며, 보다 세밀한 포맷팅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이나 다른 학습자분들의 경험을 더 알고싶으시다면, 아래의 게시글들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 포맷터 와 컨버터의 순위 질문: 이 게시글은
ConversionService가 포맷터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포맷터의 parse(), print()는 자동으로 사용되는 건가요?: DefaultFormattingConversionService와 Formatter의 작동 원리에 관한 질문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