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워킹셋에 궁금점
해결된 질문
작성
·
116
0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워킹셋의 경우 실행상태가 되는 컨텍스트 스위칭을 할 때 사용된다고 하셨는데, 이게 이런 의미인가요?
컨텍스트 스위칭을 할때 교체되는 페이지 10개
이중 워킹셋에 있는 페이지 4개 -> 즉, 6개만 메모리로 올라와서 스레싱을 방지한다.
아니라면 컨텍스트 스위칭에 사용된다는게 어떤의미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윤지영님.
워킹셋에 대한 질문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워킹셋은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이는 스레싱을 방지하고 메모리 활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워킹셋의 역할
- 주요 개념: 워킹셋은 현재 프로세스의 실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페이지 집합으로 구성됩니다.
- 스레싱 방지: 스레싱은 프로세스가 필요한 페이지가 메모리에 부족해 자주 페이지 교체가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워킹셋을 관리하면 이러한 스레싱 현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컨텍스트 스위칭과의 관계: 컨텍스트 스위칭 시 워킹셋의 페이지가 메모리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경우 스위칭 과정이 보다 원활하며, 필요한 최소 페이지만 적재되도록 조정할 수 있습니다.
컨텍스트 스위칭 관점에서의 워킹셋
- 컨텍스트 스위칭이 발생하면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CPU를 다른 프로세스에게 넘기게 됩니다. 이때 워킹셋에 포함된 페이지는 메모리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빈번합니다.
- 예를 들어, 프로세스가 10개의 페이지를 필요로 할 때, 워킹셋이 4개의 페이지만 메모리에 유지하고 있다면, 나머지 6개는 필요 시 교체되어 접근됩니다.
추가적인 참고 자료
- 쓴 연관 지식 질문1 - 페이지 테이블이 메모리에 어떻게 할당되는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 쓴 연관 지식 질문2 - 컨텍스트 스위치의 단위에 관한 설명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감자님
앗 제가 질문을 잘 못 적은 것 같습니다. 질문의 의도는 워킹셋이 어떻게 사용되냐 였습니다. 아래쪽 AI가 작성해준 컨텍스트 스위칭 관점에서의 워킹셋 이게 제가 궁금했던 부분인데 해당 내용이 맞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