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25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이번에 프로젝트를 시작하려고하는 백엔드 공부하고있는 학생입니다.
웹 서비스를 만드려고하는데 DB 설정은 언제해야하나요 ..?? AWS RDS를 이용하려고하는데요
domain, service, controller 등의 코드를 다 구현하고 연결하는 건가요?
현재 프로젝트 환경 설정 중인데, yml파일에 어떤걸 작성해야될지..
보통 local mysql 로 연결한 후에 코드 작성 다하고 나중에 aws를 이용하나요?
아니면 db설정 안해놓고 코드 작성 다하고 나중에 aws를 이용하나요?
아니면 aws 를 초기에 설정 후 db연결한뒤 코드작성하나요 하나요??
해커톤만 해보고 그 당시에도 유경험자분이 서버 관련해서 다 해주셔서 직접해보려하니 어려움이있네요 ㅜㅜ
감사합니다 :)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원동희님.
웹 서비스 구축 시 DB 설정은 프로젝트 초기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AWS RDS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로 먼저 설정을 완료한 후 프로젝트 개발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렇게 초기에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고 연결해두면, 개발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테스트하면서 개발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입니다.
DB 설정을 먼저 진행하세요.
application.yml (또는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DB 연결 정보를 작성하세요.
spring:
datasource:
url: jdbc:mysql://[RDS 엔드포인트 주소]:3306/[데이터베이스 이름]?useSSL=false
username: [사용자 이름]
password: [비밀번호]
jpa:
hibernate:
ddl-auto: update
show-sql: true
Domain, Service, Controller 등의 코드 구현을 진행하세요.
로컬 개발 환경과 AWS 환경의 전환
application-profile.yml
을 만들어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pplication-local.yml
, application-prod.yml
과 같이 환경 별로 설정 파일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해커톤에서 서버 관련 작업을 직접 해보지 않았더라도 점진적으로 학습하며 진행한다면 충분히 해낼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AWS RDS 설정해놓고 프로젝트를 시작하게되면 요금 나오진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