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80
1
안녕하세요! HTTP의 Connnectionless에 대해서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둘 중 어떤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HTTP는 무상태,비연결성 특징을 가진다. 왜냐하면 각 요청과 응답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또한 HTTP 1.0, 1.1 그 이상 버전에서도 TCP 지속연결 모델을 사용하지만 HTTP는 TCP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비연결성의 특징을 그대로 갖고 있다.
HTTP는 무상태, 비연결성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HTTP 1.0버전에서 비연결성의 단점이 드러났다. 따라서 1.1 버전 이상부터는 지속 연결을 사용하여 이러한 단점을 극복했다.
어떤게 맞는 답변인가요?
답변 1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제공해 드린 정보 내에서 HTTP의 ‘Connectionless’ 속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HTTP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HTTP는 기본적으로 무상태(stateless) 및 비연결성(connectionless)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한 후 연결을 끊어버리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그렇습니다, 첫 번째 설명이 각 요청과 응답이 독립적으로 처리된다는 점에서 HTTP의 기본적인 특성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HTTP/1.1부터는 ‘Keep-Alive’ 메커니즘을 통해 지속 연결을 지원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두 번째 설명도 일부 맞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즉, HTTP/1.1은 연결을 유지하고 여러 요청과 응답을 통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HTTP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비연결성 특징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아니라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추가 옵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결국, 두 설명 모두 HTTP의 특정 측면을 설명하고 있으나, HTTP의 기본 개념과 1.1 버전에서 도입된 지속 연결의 개념을 모두 포함하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