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Rps와 연관된 MVC 패턴에 관한 질문입니다.
작성
·
145
답변 1
0
앨런(Allen)
지식공유자
네 DongHyun 님.
네 맞습니다.
열거형(enum) 자체를 뜻하는데, 정확하게는 열거형 인스턴스를 말합니다. (인스턴스는 생성되어 메모리에 올라간 데이터의 실체라고 보시면 돼요.)
즉, 열거형의 데이터(인스턴스)가 메모리에 올라가면 그 실체는
Rps.ready (준비이거나)
Rps.rock (바위이거나)
Rps.paper (보 이거나)
Rps.scissors (가위 일텐데)
그중에 한개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클래스나 구조체에서 사용하는 self(메모리에 올라간 데이터의 실체 - 즉, 인스턴스)를 동일하게 의미하는 것입니다. 열거형 내부에서는 그 인스턴스 데이터를 사용시 self로 명명하는 것이지요.)
근데 해당 질문은 문법 관련 질문이긴 합니다 ^^;
(흔하게 쓰이는 문법이긴 해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문법을 제대로 학습하시는게.. 장기적으로 더 빨리 성장하시리라고 생각이 듭니다. 앱 만들기와 다른 분들의 문법 강의도 꼭 같이 병행해서 학습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






앨런님, 위의 내용에서 보면 swift문에 self라고 되어있는데요 여기서 self가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 하는지 좀 알고 싶습니다. 제 생각에는 enum자체를 뜻한다고 생각이 되는데요 제가 swift문에서 self를 한 것을 잘 보지 못해서 제가 이해하는데 좀 어려움이 있는데요 도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앨런님, 문법 질문에도 불구하고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문법강의도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