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제대로 이해한건지 궁금합니다!
작성
·
254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빵빵이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Configuration이 붙은 클래스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설정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클래스입니다. 실제로 이 설정 클래스 내에서 정의된 @Bean으로 등록된 메서드들이 반환하는 객체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며, 기본적으로 싱글톤으로 보장됩니다.
@ComponentScan은 스프링이 컴포넌트(@Component, @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등)를 스캔하여 스프링 컨테이너에 빈으로 등록하도록 하는데 사용됩니다. 빈의 이름은 기본적으로 해당 클래스명을 사용하되, 첫 글자만 소문자로 변경하여 사용합니다.
@Autowired는 주로 생성자에서 사용되며,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관리되고 있는 빈을 해당 클래스에 자동으로 주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생성자 주입 방식은 의존관계가 필수적인 경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불변성을 보장합니다.
빵빵이님께서 제시한 다이어그램 및 설명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Configuration, @ComponentScan, 그리고 @Autowired의 기초적인 사용법과 원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계신 것으로 보입니다. 각 애노테이션의 역할과 관계에 대한 빵빵이님의 이해는 정확한 것 같습니다.
참조 링크: Spring Boot Reference Document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