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10
0
maven gradle 버전 충돌 해결하였고 테스트 파일 다 잘통과되고 컨트롤러 맴핑 gpt한테 물어봐도 문제없다하는데 어디서 오류가 발생하여 500에러가 뜨는지 모르겠습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WINTER님, 스프링 부트의 화이트 라벨 에러페이지에 대해 질문주셨군요. 서버 내부에서 예기치 못한 오류(Internal Server Error)가 발생하여 HTTP 상태코드 500이 반환된 것으로 보입니다.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로깅 설정 확인하기: 서버의 로그 설정을 확인하여 상세한 오류 메시지를 볼 수 있도록 합시다. 예외가 발생하면 스택 트레이스(stack trace)에서 실제 오류의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커스텀 에러 페이지 추가하기: 사용자 정의 에러 페이지를 추가하여 더 상세한 오류 정보를 제공하도록 해봅시다. src/main/resources/templates/error/
폴더에 상태코드와 일치하는 이름의 템플릿 파일을 생성하여 커스텀 에러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xx.html
이나 5xx.ftlh
템플릿을 추가하면, 500번대 에러가 발생했을 때 해당 페이지로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스프링 부트 Actuator 설정 확인하기: server.error.whitelabel.enabled
속성을 통해 화이트 라벨 에러 페이지의 활성화 여부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false
로 설정하여 기본 에러 페이지를 비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 후 커스텀 에러 페이지를 추가할 것을 권장합니다. 더불어, ErrorMvcAutoConfiguration
클래스를 통해 다양한 에러 페이지 관련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에러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로그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먼저일 것입니다. 이후 추가적인 문제가 발견된다면, 커스텀한 에러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스프링 부트의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나은 에러 응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참고 링크를 첨부하니 확인하시어 추가적인 정보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 커스텀 에러 페이지 설정에 관한 문서: Spring Boot 참고 문서
- 에러 처리에 관한 문서: Spring Boot 참고 문서
위의 방법들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