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fe5459님의 프로필 이미지
fe5459

작성한 질문수

쿠버네티스 구성 관련

작성

·

145

0

안녕하세요

 

쿠버네티스 실무교육을 듣고 실제 실무에 활용하고자 합니다.

 

중요(핵심) 업무에 대한 전환을 검토하고 있어, 해당내용에 대해 의견을 듣고자합니다.

 

보통 중요서비스의 경우 A-A or A-S 구성을 하고 있습니다.

 

  1. 핵심업무 中 배치거래가 있을 경우 세션이슈가 있어 보통 A-S 구성을 합니다.

  2. 다만 온라인 거래의 경우 A-A구성으로 실시간 서비스를 가능한 보증하는 형태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슈되는부분은 쿠버네티스의 경우 오토스케이리링, liveness proven기능이 있어 해당 구성처럼 컨테이너를 2개 띄우고 구성하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 듭니다.

(*단일구성으로 하는것이 맞을지..)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쿠버네티스 환경에서는 자동으로 시스템의 상태를 감지하고 관리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Spring Boot Reference Documentation에서는 쿠버네티스에 배포된 애플리케이션들이 ‘liveness’와 ‘readiness’ 상태를 쿠버네티스 프로브(Kubernetes Probes)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Spring Boot 액추에이터(actuator)를 사용할 때 건강 확인(health) 엔드포인트 그룹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ApplicationAvailability 인터페이스를 자신의 빈에 주입하여 얻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단일 구성이나 복수 구성의 결정은 시스템의 요구사항, 순간적 피크 사용량, 고가용성의 필요성, 서비스를 중단없이 운용할 수 있는 지원 여부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쿠버네티스의 오토스케일링과 liveness 프로브 기능을 활용하여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컨테이너의 수를 조절하고 각 컨테이너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가용성을 유지하면서 리소스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fe5459님께서 언급하신 핵심업무의 경우, 실시간 서비스 보증과 세션 이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구성을 선택해야 하며, 쿠버네티스의 이러한 기능들을 활용하면 단일 구성과 복수 구성 사이의 균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의 기능을 충분히 이해하고 각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적용한다면, A-A나 A-S 구성 유무에 관계없이 보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 운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참고로 해당 정보는 Spring Boot Reference Documentation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fe5459님의 프로필 이미지
fe5459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