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28
0
디렉토리 구조가 이렇게 되어있을때, @src/bar로 src/bar/index.ts에 있는 bar라는 함수를 가져오는 상황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제가 이해한 게 맞을까요...?
그리고 이런 경우 만약 bar라는 함수가 만약 다른 디렉토리의 index 파일에 동명의 함수가 있으면, 이런 경우엔 어떻게 되나요?
만약 제가 2번에서 질문한 것이 성립이 되지 않는다면 제가 생각하기엔 "paths":{"@src/*" : ["src/*"] 라고 설정하는 부분이 src 디렉토리 안에 직접 포함되어 있는 파일만 가리키는 것 같은데요... 그렇다고 한다면, 왜 paths를 쓰는건가요? 그냥 절대경로로 써주는게 가독성이나 편의성 면에서 더 좋을 것 같은데, 라는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민희님 ~
1. 디렉토리 구조가 이렇게 되어있을때, @src/bar로 src/bar/index.ts에 있는 bar라는 함수를 가져오는 상황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제가 이해한 게 맞을까요...?
=>> 넵 맞습니다 !
그리고 이런 경우 만약 bar라는 함수가 만약 다른 디렉토리의 index 파일에 동명의 함수가 있으면, 이런 경우엔 어떻게 되나요?
=>> 다른 디렉토리에 있다면, 다른 디렉토리 경로를 써줘야 다른 디렉토리에 있는 동명의 함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디렉토리 이름 명시가 다르기에 index 파일에 있든 같은 함수 명을 사용하든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만약 제가 2번에서 질문한 것이 성립이 되지 않는다면 제가 생각하기엔 "paths":{"@src/*" : ["src/*"] 라고 설정하는 부분이 src 디렉토리 안에 직접 포함되어 있는 파일만 가리키는 것 같은데요... 그렇다고 한다면, 왜 paths를 쓰는건가요? 그냥 절대경로로 써주는게 가독성이나 편의성 면에서 더 좋을 것 같은데, 라는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 절대 경로를 쓰는 게 가독성이나 편의성 면에서 좋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src 라는 기준을 만들어서
그 기준부터 로만 경로를 작성하니 제가 봤을 때는 가독성과 편의성이 더 좋다고 생각이 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