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작성
·
199
0
단일표본검정은
정규성검정 만족하지 않을 때 비모수 검정 시행하게 되는데
# Wilcoxon(윌콕슨)의 부호 순위 검정 수행 stats.wilcoxon(df['무게'] - 120, alternative='less')
여기서 df['무게'] - 120 말고 df['무게'], 120
콤마로 구분하면 에러가 나는데 꼭 - 를 사용해서 해야하나요?
대응표본검정은
# Wilcoxon(윌콕슨)의 부호 순위 검정 수행 stats.wilcoxon(df['after'] - df['before'], alternative='greater')
윌콕슨 비모수 검정 수행 시 after와 before를 -로 해도 되고 콤마 , 로 해도 같은 값이 나오는데
윌콕슨 비모수검정 시
그냥 단일표본은 - //// 대응표본은 , - 둘다 가능
이렇게 외워야하는건가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tats.wilcoxon 함수는 두 샘플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비모수 검정을 수행해야 합니다. 단일 표본 검정의 경우, 검정하고 싶은 중앙값(예: 120)으로부터의 차이를 계산하기 위해 df['무게'] - 120
을 사용하여 샘플 데이터에서 중앙값을 뺀 차이를 구해야 합니다. 이것은 샘플 데이터가 하나의 중앙값(또는 목표 값)과 얼마나 다른지를 검정하기 위함입니다.
반면, 대응 표본 검정에서는 두 개의 관련 샘플(예: ‘after’와 ‘before’) 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 차이를 기반으로 검정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df['after'] - df['before']
형태로 차이를 구하거나 직접 두 샘플을 함수의 인자로 전달합니다.
결국, 단일표본 검정에서는 특정 값과의 차이를 구하기 위해 -
연산을 사용하고, 대응표본 검정에서는 두 샘플 간의 차이를 직접 구하거나, 두 샘플을 콤마로 구분하여 함수에 전달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 방법입니다. 따라서 위의 경우처럼 -
과 ,
의 사용을 구별하여 이해하고 활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