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부동소수점형
작성
·
265
·
수정됨
2
3.11 부동소수점형 9:17에서 8비트 언사인드 정수는 0에서부터 255까지라고 하셨는데 왜 1부터 256이 아니라 0부터 255까지인건가요? 그리고 왜 124에서 127을 빼줘야 되는지 이해가 안가요 2^124-127 이부분이요
답변 1
1
안녕하세요, 답변 도우미 Soobak 입니다.
먼저, 8 비트 unsigned 정수가 0 부터 255 까지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8 비트 unsigned 정수의 경우, 각 비트는 0 또는 1 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때, 8 개의 비트가 모두 0 일 경우, 이는 십진수로 0 을 의미합니다.
반면, 8 개의 비트가 모두 1 일 경우,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되어 255를 의미합니다.
2^7 + 2^6 + 2^5 + 2^4 + 2^3 + 2^2 + 2^1 + 2^0 = 255
따라서, 8 비트 unsigned 정수의 범위는 0 부터 255 까지입니다.
124 에서 127을 빼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32 비트 부동소수점의 경우, 지수부는 8 비트를 차지합니다.
이 때, 지수부의 값을 음수로 표현하기 위해서, 해당 지수부에 저장된 비트의 값에서 편향값 127 을 빼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수부가 124 라면 실제 지수 값은 124 - 127 = -3 입니다.
편향값을 사용하는 이유는, 부동소수점 수를 표현할 때, 양수 및 음수의 지수를 함께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2^(124 - 127) 부분에서, 실제 지수는 -3 이므로, 이 수는 2 의 -3 승, 즉, 1 / 8 을 의미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