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사님,
이번 주 일요일(9월 28일)에 삼성 SW 역량테스트를 앞두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남은 기간이 5일 정도라 어떻게 공부해야 가장 효과적일지 커리큘럼을 조언받고 싶습니다.
현재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이썬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BFS/시뮬레이션 패턴은 어느 정도 이해했으나 아직 손에 잘 익지 않았습니다.
남은 기간 동안 하루 10시간 이상 학습이 가능합니다.
제가 여쭙고 싶은 것은:
남은 5일 동안 어떤 문제들을 어떤 순서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일까요?
예: 하루 2~3문제 이상 풀이 vs 기출 집중 반복
개념 학습(예: BFS, 배열 회전, 시뮬레이션 구조)과 문제 풀이 비중을 어떻게 가져가야 할까요?
시험 직전 하루(토요일)에는 어떤 방식으로 복습/모의고사를 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까요?
제가 실전에서 “최소 1문제 완성 + 부분 점수 확보” 전략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 목표에 맞는 훈련법이 있을까요?
남은 기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싶습니다.
강사님께서 추천해주시는 커리큘럼이나 학습 루틴이 있으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BFS
제 강의에 있는 BFS 구현 + 코드트리 빵의 before 배열로 역추적하기 부분은 눈 감고 풀 수 있을 정도로 익숙해지시길 바랍니다.
생각보다 기출을 풀 때 기초 구현에서 틀리지 않을거라 생각하고 디버깅에 시간을 많이 소모합니다.
배열 회전
한 번씩 구현해보시고, 시험 전에 한 번만 더 구현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달팽이 구현은 꼭!!)
→ 문제 풀이 비중은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최신 기출에서 BFS + 시뮬레이션 + 회전 모두 다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2022 상반기 문제
색깔폭탄(우선순위 조건 처리), 회전하는 빙하(구간 나누어서 회전),
술래잡기(달팽이 구현), 예술성(조화로움, 경계 처리 구현)
이 4문제에 나온 유형이 자주 반복되고 있으니, 해당 문제는 꼭 익혀보시길 바랍니다.
아직 기출 문제를 많이 안 푸신 것 같은데
초반 문제들은 문제 읽고, 어떻게 푸는지 고민하고, 바로 강의를 보고 넘어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DFS는 최신 기출에는 많이 나오진 않고 있으니, 저라면 시간 투자를 많이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섹션 10 - 기출 문제 유형 및 링크 요약에 어떤 유형인지 적어뒀으니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2022 하반기 이후
기출은 (최신기출 일수록 중요) 꼭 풀어보시되,
특별한 알고리즘이 필요한 문제가 아니거나 여러 방법으로 풀 수 있는 문제
→ 단순 시뮬레이션 문제는 이런 경우도 고려해야 하구나~ 하고 메모 정도만 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싸움땅에서 총 관리 방법, 루돌프의 반란에서 충돌 처리)
굳이 도박을 하자면, 2024 하반기 미지의 공간 탈출과 메두사의 전사들은 역대 기출 중 구현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강의만 한 번 보시고, 스스로 직접 다 풀어보기에는 가성비가 낮은 것 같습니다.
그 외 문제들은 최신 기출이면서 BFS를 사용한 문제들이니 최대한 많이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저한테 5일만 남았다면 이런 순서로 공부할 것 같습니다.
시험 전 날엔 꼭 푹 주무셔서 최상의 컨디션으로 테스트 보시길 바랍니다.
합격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이소정
2025.09.23친절한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시험일정이 생각보다 촉박해 막막했는데 선생님께서 솔루션을 주셔서 일단 그대로 적용해보고자합니다..!
남은 기간동안 최선을 다해 합격하고 후기 남기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피로물든딸기
2025.09.24화이팅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