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한 두 개 개발해봤습니다.
현재 0주차 교안을 한번 슥 읽고 C++에 대한 내용을 보니 기초적인 수학지식 + C++ STL관련 자료구조 이용방법으로 보여 모르는 부분은 따라치고 노션에 따로 정리를 해놨습니다.
1주차 강의를 들어가면서 코테를 해보려 했는데
문제는 확실히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코테는 알고리즘 구현 방법이 잘 안 떠오르더라구요
교안에선 브론즈 실버 골드 플레 로 나뉘어서 어떤 시간만큼 어떻게 투자를 하고 안될시엔 어떻게 하라 라고 나와 있는데 문제를 제대로 이해 못해서 한 문제도 제대로 못 풀겠더라고요..
강의에서 질문을 하신 분들 봤을땐
꼭 먼저 해본후-> 강의보기 라고 하셨는데
강의를 먼저 본 후 코테를 진행해도 되는지
아니면 꼭 먼저 고민을 해보고 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고민을 한다면 문제에 대해 어떤 식으로 고민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Aki님 ㅎㅎ
1주차 강의를 들어가면서 코테를 해보려 했는데
문제는 확실히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코테는 알고리즘 구현 방법이 잘 안 떠오르더라구요
교안에선 브론즈 실버 골드 플레 로 나뉘어서 어떤 시간만큼 어떻게 투자를 하고 안될시엔 어떻게 하라 라고 나와 있는데 문제를 제대로 이해 못해서 한 문제도 제대로 못 풀겠더라고요..
-> 개념강의 듣고 문제풀이를 드가셔야 하는데요. 1주차의 경우 대부분 브론즈이기 때문에 30분정도만 고민하시면서 푸시면 됩니다.
강의를 먼저 본 후 코테를 진행해도 되는지
아니면 꼭 먼저 고민을 해보고 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네 무조건 고민 부터 하셔야 합니다.
고민을 한다면 문제에 대해 어떤 식으로 고민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정확히 뭔가?를 파악해야 합니다.
출력값은 무엇인지, 어떤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지 명확히 풀어서 설명할 줄 알아야 합니다.
예: "최단 거리", "최대 수익", "올바른 괄호 문자열인지 확인"
-> 이라면.. min, max, check(괄호를 올바르게 확인하는 함수) 등이 생각나야 합니다.
2.입력의 크기(범위)는 얼마나 되는가?
예: N ≤ 10⁵ 등
예외 상황은 무엇이 있는가?
값이 음수가 될때? 또는 문제의 최대범위값을 입력했을 때?
이 3가지를 기반으로 고민 하시고 -> 먼저 손코딩을 하셔야 합니다.
무작정 코드를 짜지 마시고, 먼저 종이 혹은 메모장에 예시 입력을 넣고 직접 손으로 본인이 생각하는 로직을 기반으로 대략적으로 구현해보시는게 좋습니다.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