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2주차 발자국](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9eab884a-6c5c-4617-b021-b5d2b6a612f2/336236-png-1200×781--03-09-2025_12_33_AM.png)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2주차 발자국
📖 2주차 학습 내용 요약
고객 전문가가 되는 법
고객을 직접 만난다
1대1 심층 인터뷰
사용성 테스트
고객을 만나기 전 설계가 필요함
리서치의 목적은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것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리서치 설계
1대1 심층 인터뷰
인터뷰 인원은 10명부터 시작하자
설계 순서
사업 질문 : 우리 사업이 이뤄야 하는 중요한 목표,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 ( = 우리가 해야 할 의사결정)
어떻게 하면 고객 이탈을 줄일 수 있을까?
리서치 질문 : 목표를 이루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서치에서 답을 얻고자 하는 질문
이탈한 고객들은 어떤 사람들인지?
어떤 순간에 제품에 실망하여 이탈을 결심하는지?
인터뷰 질문 : 리서치 질문에 답을 얻기 위해 인터뷰에서 실제로 하는 질문 (리서치 질문을 그대로 하면 안 됨)
해지를 하게 된 결정적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용성 테스트
사용성이란
유저가 제품을 사용할 수 있나?
제품을 이해할 수 있나?
이 제품을 이용해서 뭘 할 수 있는지 이해
제품 작동 방식을 알고 뭘 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이해
기능을 발견할 수 있나?
기능을 찾아 들어가는 경로가 직관적이어야 함
5명만 테스트하면 웬만한 사용성 문제는 찾아낼 수 있음
새로운 제품이나 기능을 만들 때, 리디자인, 기능 개선 시 수행
매몰비용이 너무 커지지 않을 시기에 (엔지니어가 구현하기 전)
그렇지만 사용자가 경험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은 있을 때
진행 방법
유저가 우리 제품에서 수행할 만한 현실적인 태스크를 주기
질문하기
PM의 데이터 활용
(의사결정 전) 지표를 이용해 사업의 현황 파악
어떤 지표들이 존재하는지 알고
각 지표들이 어떤 의미이고
지표의 값에 따라 우리가 어떤 의사결정을 해야하는지 알기
(의사결정 전) 데이터 드릴 다운을 통해 인사이트 찾기
데이터를 집요하게 쪼개서 봐야 함
(실행 전) 타당성을 평가하고 우선순위 정하기
우리 제품 조직의 시간과 자원을 써서 진행할 만한 일인지 평가
현재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지, 지표에 개선 여지가 많은지
(실행 뒤) 결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평가
몇 명이 사용하는가? (Feature Adoption)
한 번 사용한 이후에도 계속 사용하는가? (Feature Retention)
+ 데이터 간 상관관계 찾기
SQL 데이터 추출, 엑셀 피벗 테이블
데이터를 잘 활용하는 PM이 되려면?
데이터 축적 역량 (로그 설계, Event Taxonomy 설계)
의도를 가지고 데이터를 정의해야 함
어떤 데이터를 축적할 것인지 정의
그 데이터를 어떤 형태, 어떤 이름으로 축적할 것인지 정의
데이터 활용 역량
지표 이해하기
데이터 분석 역량
툴 사용 역량
💬 회고
예전에 고객 인터뷰를 나가기 전 질문을 미리 준비해갔는데, 강의를 듣고 생각해보니 잘못된 부분이 많았다.
고객의 의향을 물어봤던 것, 유도 질문 (~한 기능이 추가되면 쓰실 건가요?)
원리, 원칙을 물어봤던 것 (~할 때 어떤 점을 주로 고려하세요?)
로그 설계 시 어떤 데이터를 축적할 것인지 정의하고, 그 데이터의 형태와 이름도 정의한다는 게
축적할 데이터가 쌓일 테이블의 컬럼명이나 컬럼 속성을 정하는 걸 말씀하시는 건지? 궁금해져서, 조금 찾아봐야겠다.
🔖 출처
강의명 : 시작하는 PM/PO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프로덕트의 모든 것
지식공유자 : 김민우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