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및 경력
서울대학교 졸업
現 카카오 개발자
배경
컴퓨터 비전공자 출신
독학으로 개발을 시작해 CS 기초부터 기술 면접까지 직접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준비
시행착오를 겪으며 쌓은 학습법과 개념 정리 노하우를 꾸준히 콘텐츠로 제작해옴
주요 이력
전자책 2권 출간
『시행착오를 줄여주는 서울대 합격 독학 공부법』
『비전공자 네카라 취업 노하우』
→ 혼자 실패하며 겪은 시행착오와 그 해결법을 구조화한 독학 실전서
강의 철학
실무와 면접에서 꼭 마주치는 핵심만 선별해,
쉬운 설명과 도해로 누구나 이해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그때의 저에게 필요했던 강의를 만들고 있습니다”
블로그
컴퓨터 지식, 이렇게 쉽게!
→ CS 개념, 알고리즘 및 실무 개념을 쉽고 명확하게 전달하는 기술 블로그 운영 중
Contact
yiyj1030@gmail.com
Khóa học
Đánh giá khóa học
- [CS 기술면접 2] Hệ điều hành dễ hiểu
- [CS 기술면접 1] Kiến trúc máy tính dễ hiểu
- [CS 기술면접 3] Mạng máy tính dễ hiểu
- [CS 기술면접 5] Cấu trúc dữ liệu giúp nói trôi chảy
Bài viết
Hỏi & Đáp
메모리 공간을 선택할 때 메모리 탐색 순서
PrivilegeEscalate님 안녕하세요.해당 강의에서는 메모리 연속 할당 방식을 배우게 되는데요,이 경우 프로그램을 적재할 메모리 공간을 선택할 때는 낮은 주소부터 높은 주소 방향으로 선형 탐색을 수행합니다. OS 영역이 있는 낮은 주소 쪽에서부터 시작해,사용자 프로그램이 올라갈 수 있는 공간을 순서대로 확인하면서First-Fit(최초 적합), Best-Fit(최적 적합) 같은 방법으로 알맞은 빈 공간을 찾는 방식입니다. 다만 알아두셔야 할 점은,이러한 연속 메모리 관리 방식은 과거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개념이며,현대의 운영체제는 페이징 및 가상 메모리 기반의 불연속 할당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해당 내용은 바로 다음 강의에서 이어지니 참고해주세요.감사합니다.
- 0
- 1
- 14
Hỏi & Đáp
Suspend는 Ready 나 Blocked 상태에서 가능한거 아닌가요?
PrivilegeEscalate님 안녕하세요!네, 말씀하신 대로 Suspend는 Ready나 Blocked 상태에서만 가능합니다.제가 슬라이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라고 표현한 것이 오해가 생겼네요.컴퓨터가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이유는 CPU가 매우 짧은 시간 단위로 프로세스들을 번갈아가며 실행(문맥 교환)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는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CPU를 사용하지만(Running 상태), 너무 빠르게 전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느끼게 됩니다. (*2장 하드웨어 수행과정, 4장 CPU 스케줄링에서 관련 내용이 나옵니다)우리가 메모장을 켜도 그 프로그램은 CPU를 계속 점유하는게 아니라 Ready, Running, Blocked 상태를 오가며 수행되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분명히 "실행 중"으로 인식됩니다.중기 스케줄러는 이러한 메모리에 올라와 실행 흐름 안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우선순위가 낮거나 메모리 확보가 필요한 경우 해당 프로세스를 디스크로 swap out하는 역할을 합니다.정리하면, PrivilegeEscalate님이 이해하신 내용에서 틀린 건 없었지만 자료의 "실행 중인"이라는 말이 Running 상태로 한정된 것이 아니라, 메모리에 올라와 실행 사이클을 도는 좀 더 넓은 범위를 가리키다 보니충분히 오해의 여지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그럼, 언제나 편하게 질문주세요. 감사합니다.
- 1
- 2
- 18
Hỏi & Đáp
비대칭키 대칭키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공부하자님!핵심을 잘 정리해주셨네요.오랜만에 해당 강의 자료를 보니 이쪽에 너무 그림 자료가 없나...설명도 좀 딱딱한 것 같고...하는 아쉬움이 계속 드네요. ㅎㅎ어쨌든 제 강의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있는 것 같아 뿌듯합니다.긴 연휴가 끝나가서 아쉬움이 있지만, 남은 일정도 잘 마무리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 0
- 1
- 19
Hỏi & Đáp
CPU-명령어 처리 흐름
안녕하세요. 좀 더 자세한 그림 자료 및 설명을 추가하여 6장과 7장을 업데이트 했습니다.강의 자료는 다시 받아주시고, 업데이트된 6장과 7장을 다시 수강해주시면 훨씬 정확한 설명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 1
- 2
- 57
Hỏi & Đáp
CPU-명령어 처리 흐름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주소 버스는 말씀해주신 것처럼 CPU → 메모리로만 흐르는 단방향 흐름이 맞습니다. CPU 안에 있는 PC(프로그램 카운터)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는 xx번지에 있어" 하고 그 주소를 MAR에 넘겨주고, MAR은 이 값을 주소 버스를 통해 메모리에게 전달합니다(MAR → 주소 버스 → 메모리). 메모리는 그 주소를 전달받고, 데이터를 찾아 데이터 버스를 통해 CPU로 보내주는 구조입니다. 다만 그림의 화살표는 잘못 표기된게 맞습니다. 양방향 화살표가 아닌 단방향이 되어야 하는데 표기에 실수가 있었네요. 빠르게 수정하겠습니다. 참고로 강의의 6장과 7장은 추가 그림 자료와 함께 리뉴얼된 강의로 곧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앞으로도 학습 중 궁금한 점은 언제든 질문해 주세요!
- 1
- 2
- 57
Hỏi & Đáp
컴퓨터의 숫자 표현 - 실수 예시에서 부호 비트 부분 오타인가요?
안녕하세요!말씀하신 대로 잘못 표기된 것이 맞습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강의 영상 및 자료를 수정해두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다시 한번 제보 감사드립니다!
- 1
- 2
- 55
Hỏi & Đáp
컴퓨터 구성요소 시스템 버스 사진
안녕하세요, 거북이님!말씀하신 대로 주소 버스의 화살표 방향이 잘못 표기된 것이 맞습니다. 주소 버스는 CPU에서 메모리나 주변 장치로 주소를 '지시'하는 단방향 흐름이 되어야 하는데, 제가 표기에 실수가 있었네요.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빠른 시일 내에 해당 부분을 수정하여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다시 한번 제보 감사드립니다!
- 1
- 1
- 73
Hỏi & Đáp
해시 테이블 + 선형 탐색 + 캐시?
안녕하세요, in hm님! 강의를 주의 깊게 들어주시고 질문까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변의 값을 같이 가져와서 캐시 hit 확률을 높이고 성능을 높이는건 데이터의 시공간 지역성을 기반으로 합니다. 즉 비슷한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가 같이 조회될 확률이 높다는 특성을 이용합니다. 해시 테이블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저장할 위치, 즉 내부 배열의 인덱스를 결정할 때 해시 함수를 사용하게 됩니다. 데이터(key)에 대한 해시 함수 연산 결과를 인덱스로 사용하게 되는 거죠. 이때 해시 함수는 키 값을 해시 테이블 공간에 최대한 균등하고 무작위적으로 분포시키도록 설계되며 이는 데이터의 논리적인 연관성, 인접성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인 결과를 반환합니다. 따라서 클러스터링이 형성되었을 때, 물리적으로 인접해있는 데이터들이 논리적으로도 연관이 있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물리적으로 인접하게 저장된 데이터들이 캐시의 공간적 지역성 이점을 얻을 만큼 의미 있게 '함께 조회될 확률'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선형 탐색의 길이가 길어지는 비효율성으로 인해 O(1)의 평균 접근 속도를 저해한다는 점에서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편하게 다시 질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0
- 2
-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