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시스템 디자인, 직접 구현, 성능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스터디입니다.
단순한 이론 학습이 아니라, 직접 구현하고 부하 테스트를 통해 정량적인 성능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중입니다.
지난 활동:
Pagination vs Cursor 성능 비교
Cache-aside 전략 구현 및 분석
캐싱 & 멱등키 적용
Redis 미도입 상태 vs 도입 후 최적화 성능 비교
부하 테스트 기반 아키텍처 개선
RDB 샤딩 vs Cassandra 성능 시뮬레이션
Fan-out on write/read 전략 구현 및 비교 분석
이번 학습 방향:
각각의 알고리즘 5개 구현 (인메모리 Limiter)
각 알고리즘의 내부 동작 원리 및 성능 특성 이해
Token Bucket, Leaky Bucket, Fixed Window Counter, Sliding Window Log, Sliding Window Counter
Redis 기반 Rate Limiter 구현 + 일관성 해싱 적용
다중 Redis 환경에서의 일관성 해싱 검증
MVP 프로젝트에 적용
여기서는 단일 레디스로 적용
다중 서버를 가정한 단일 서버에서의 Rate Limiter
API별 부하테스트를 통해 어떤 상황에서의 알고리즘이 효율적인지 비교 분석
스터디 모집 인원: 1명 (현재 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