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백엔드

  • 해결 여부

    미해결

module, controller, service, entity 생성 관계

23.01.10 09:08 작성 23.01.10 09:09 수정 조회수 194

0

module 안에 controller, service가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초에 nest new 하면 user module/contoller/service 가 생성됩니다.

이후, 새로운 기능에 대해 nest cli 로 module을 생성해야 할지? controller를 생성해야 할지, 혹은 service를 생성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역할이 있겠지만, 새로운 service를 만들때, 반드시 새로운 module 기반에서 새로운 service를 만들어야 하는 것인지 등등)

entity를 포함하여, 디렉토리 tree도 어떻게 가져가는게 좋은지 권고 사항 있을까요?

module, controller, service의 관계에 대한 질문 같기도 하구요, 설계관점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새로운 화일(module, controller, service)을 생성할 때, 어떤 식으로 진행하는게 좋을지 문의 드립니다.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조교C님의 프로필

조교C

23.02.17 22:03

안녕하세요 :)
답변 드립니다.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답글 달아주세요!

1. 이후, 새로운 기능에 대해 nest cli 로 module을 생성해야 할지? controller를 생성해야 할지, 혹은 service를 생성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 cli 로 만들어도 되고 vscode 에서 직접 파일 추가를 하여 만들어도 됩니다. 자유이지만, 보통은 cli 를 많이 쓰십니다.

2. 새로운 service를 만들때, 반드시 새로운 module 기반에서 새로운 service를 만들어야 하는 것인지 등등)
-> module 을 만들고 service를 해당 module에 등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service를 단일 적으로 만들어 module 에 주입하는 경우가 상황에 따라 종종 있긴합니다. 예를 들면 service 가 단 1개만 필요하고 controller 가 필요없으며 몇몇 module에서만 쓰이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service를 단일적으로 쓰는 경우 중에서도 다수 module 에 쓰이는 service이면 @Global() 옵션을 통하여 module 을 생성 후 다른 모듈들에 import 시킵니다.

질문자님이 일단은 일반적인 방법(module 을 만들고 service를 해당 module에 등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을 쓰시다가 점차 이것도 해보고 저것도 해보면서 의존성 주입이 안 꼬이고 API 설계가 깔끔해 지는 부분을 판단하셔서 쓰시면 됩니다. :)

3. entity를 포함하여, 디렉토리 tree도 어떻게 가져가는게 좋은지 권고 사항 있을까요?
-> 단일 서버냐 마이크로서비스냐에 따라 갈리고 이건 너무 개인차가 심한 부분이라 저도 명확히 말씀드리기 힘듭니다. 하지만, 참고 레퍼런스는 있습니다. 아래 링크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medium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