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작성
·
196
1
1. 일단 a -> b 로 데이터를 전송할때 인터넷을 활용하고, 수많은 노드(=서버)를 거쳐서 전달되는걸로 이해했는데 맞나요?
2. 8분 13초쯤에 논리적 연결이지 물리적 연결을 보장해주지 않는다는 것을 말씀하시면서 그 사이의 서버들이 연결되어 있는지는모른다고 표현하셨는데, ack을주고 받는 과정에 3번동안 주고 받았다면 a->b 로 가는 노드들이 적어도 하나이상은 연결되어 있다는거 아닌가요? 만약 그게 아니라면 무슨 연결을 체크한 것인지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단순히 서버가 존재하는지 여부인가요? 그걸 체크했다고 하더라도 오는길, 가는길이 있을수 밖에 없다고 느껴집니다.
3. 2번이 맞다면 물리적 연결, 논리적 연결이 무엇을 말하고 계신지 잘모르겠습니다.
4. 추가적으로 tcp 없이 데이터를 전송해서 서버가 닫혀있어 전송을 못받은 경우와 ack을 3번 주고 받은 경우에 ack을 주고 받는게 속도가 더 빠른가요? 질문을 바꿔서 tcp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그 자체로 해당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았는지 안받았는지 체크할수 있는것 아닌가요? 근데 굳이 연결상태를 먼저 체크하고 보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보안이나 ack으로 체크하면 데이터 자체로 체크하는것 보다 속도가 빠르다 정도로 예상해봤습니다.
답변 1
2
안녕하세요. 유진이님
1. 일단 a -> b 로 데이터를 전송할때 인터넷을 활용하고, 수많은 노드(=서버)를 거쳐서 전달되는걸로 이해했는데 맞나요?
-> 네 맞습니다.
2. 8분 13초쯤에 논리적 연결이지 물리적 연결을 보장해주지 않는다는 것을 말씀하시면서 그 사이의 서버들이 연결되어 있는지는모른다고 표현하셨는데, ack을주고 받는 과정에 3번동안 주고 받았다면 a->b 로 가는 노드들이 적어도 하나이상은 연결되어 있다는거 아닌가요? 만약 그게 아니라면 무슨 연결을 체크한 것인지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단순히 서버가 존재하는지 여부인가요? 그걸 체크했다고 하더라도 오는길, 가는길이 있을수 밖에 없다고 느껴집니다.
-> 3번 주고 받을 때,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할 때 중간에 어떤 길로 갈지 알 수 없습니다. 오는길 가는 길이 모두 다를 수 있습니다.
3. 2번이 맞다면 물리적 연결, 논리적 연결이 무엇을 말하고 계신지 잘모르겠습니다.
-> 물리적 연결은 진짜 렌선을 서로 꼽는 것을 말합니다. 논리적 연결은 ack등을 통해 우리가 서버가 연결되었다고 가상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진짜 연결된 것은 아니지요.
4. 추가적으로 tcp 없이 데이터를 전송해서 서버가 닫혀있어 전송을 못받은 경우와 ack을 3번 주고 받은 경우에 ack을 주고 받는게 속도가 더 빠른가요? 질문을 바꿔서 tcp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그 자체로 해당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았는지 안받았는지 체크할수 있는것 아닌가요? 근데 굳이 연결상태를 먼저 체크하고 보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보안이나 ack으로 체크하면 데이터 자체로 체크하는것 보다 속도가 빠르다 정도로 예상해봤습니다.
-> 네 이 과정을 생략한 것이 UDP 입니다. 그런데 체크를 하게 되면 그만큼 더 안정성이 보장되겠지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