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9
0
docker-compose로 zabbix와 grafana를 설치하고 docker 컨테이너로 동작하는 zabbix에서 현재 서버에 동작하는 모든 컨테이너 및 실제 local 서버의 자원을 모니터링 하고 싶습니다.
이에 다음 사항들이 알고 싶습니다.
zabbix에서 docker 컨테이너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
zabbix 컨테이너에서 실제 local 서버의 자원을 모니터링 하려면 실제 서버에 agent를 별도로 설치하는게 맞는지요?
2번과 같이 되는 경우, 컨테이너의 ip와 실재 서버의 ip는 동일하고 포트로만 식별이 되는데 agent 및 zabbix 서버의 ip를 어떻게 설정하면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컨테이너 환경에서는 Agent2를 설치해야 원활한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죄송하지만 저도 컨테이너 관련하여 모니터링 경험이 없어서 자세한 답변은 어렵습니다.
제가 아는 선에서 최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저라면 docker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아래 템플릿을 이용할 듯 합니다.
도커 컨테이너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아이템/트리거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s://www.zabbix.com/integrations/docker
(2), (3)의 경우에도 (1)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모니터링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컨테이너 환경은 Zabbix 보다는 Prometheus를 이용한 방법에 대해 레퍼런스가 훨씬 많을겁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말 많은 고민을 하고 계시고 이를 위해 넓은 시야를 가지고 계신 듯하여 많이 배워갑니다.
Zabbix 강의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원하시는 목표 성공적으로 이루시길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실 이 강의를 선택한 과정이 분산 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상태와, 내부 외부의 서비스, 오리지널 서버의 상태와 자원 상태 등을 50대 이하의 서버에서 모니터링 할 경우에 대해 고민을 하면서 였습니다.
구글링 검색과, 제가 현재 사용하는 AI plus 서비스들이 여러 종류가 있어서 다양하게 질문을 했을 때,
저 혼자서 학습을 하고 설치 및 관리를 할 경우,
초반 구축은 프로메테우스가 쉽고 zabbix의 초반 설정이 많고 어렵다는 평가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원하는 기능들을 봤을 때에는 모니터링 결과 값의 보관 및 검색과 알림 추가만 봤을 때에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가 설치 및 설정, 학습 사항이 프로메테우스에서 확인 되었습니다.
반면, zabbix에서는 이미 다 제공되는 기능에 설정 및 활성화가 대비 쉽다는 평가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agent2로 인해 더 쉽게 설치 및 설정이 가능하다는 평가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에 한번의 학습에 보다 원하는 기능들을 설치 한번에 제공받고 템플릿 및 플러그인으로 쉽게 기능을 확장 가능한 zabbix를 먼저 사용하고
이후 zabbix의 기능을 벗어나는 기능 or 모니터링 증가시 프로메테우스로 가는게 효율적이라는 평가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zabbix를 선택하여 본 강의를 학습하였는데, 학습을 하면서 제가 원하는 기능들이 전부 포함되어 있으며 생각보다 너무 쉽게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에 zabbix를 앞으로 집중적으로 사용하게 될 것 같습니다.
이에 본 강의가 저에게는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 충분한 가이드라인이 되었다고 말씀 드리고 싶네요.
본 강의가 지속적으로 보충이 되고, 수강생들의 요구가 반영이 되어 라이프 사이클이 유지되는 강의 중 하나가 되었으면 합니다.
zabbix를 사용하는 사람이 늘면 좋겠네요.
강의가 추가되면, 본문에도 활용의 다양성 등이 추가되어 저처럼 프로메테우스와 zabbix간 고민하는 사람이 강의를 듣는 경우가 늘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