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93
1
안녕하세요 영한센세!!
강의를 듣다가 @Repository 애노테이션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을 남깁니다!!
"스프링 데이터 접근 계층으로 인식하고, 데이터 계층의 예외를 스프링 예외로 변환해준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스프링 데이터 접근 계층 : 코드Level의 예외
데이터 계층의 예외 : DB (SELECT, INSERT, DELETE) Level의 예외
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DB Level의 예외가 발생하면 코드Level의 예외로 반환해준다. 로 결론이 났는데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ps. 간략한 예시가 있을까용🙏🏻?
답변 1
3
안녕하세요. JuNu님
Jdbc 드라이버에서 발생한 Jdbc 예외나, 각 DB마다 다른 예외가 발생합니다. 거기에 더해서 JPA 관련된 예외까지 포함해서 특정 데이터 접근 기술 예외가 리포지토리 계층에서 발생합니다.
이렇게 되면 JDBC에서 JPA로 변경하거나, 특정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할 때 발생하는 예외가 달라지기 때문에 예외의 영향을 받는 서비스 계층의 코드도 함께 변경해야 합니다.
스프링은 이런 예외를 스프링이 별도로 만든 DataAccessException과 그 자식 예외로 변환해서 서비스 계층에 제공합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서비스 계층에서 예외를 처리할 때, 스프링 예외만 생각하고 개발하면 되는 것이지요. 이후 리포지토리의 기술이 변경되어도 서비스 계층의 코드를 거의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관련해서 DataAccessException으로 검색해보시면 다양한 예제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