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소개
우리는 게이머들을 위한 가격 비교 + 구인/구직 실시간 플랫폼 개발 팀원을 모집 중입니다. 단순히 Steam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인기 게임 랭킹(Top 500 기준)을 Steam에서 가져오고 Epic Games 데이터를 바인딩하여 "어디서 게임을 가장 싸게 사고, 누구와 함께 플레이 할지"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목표로 합니다.
주요 기능
1. 게임 가격 비교
기능: 스팀/에픽 게임 가격 및 가격 변동 히스토리 제공
기술: Steam API, Epic Games 크롤링, Redis/DB 캐싱, 시각화
2. 실시간 구인/구직 채널
기능: 게임별 실시간 팀원 모집 및 채팅
기술: WebSocket(STOMP), 실시간 메시지 송수신
3. 알림 서비스
기능: 가격 하락, 구인/구직 매칭 등 알림
기술: Firebase(푸시 알림), Mailgun(이메일 알림)
4. 성능 및 안정성 검증
k6: API 및 WebSocket 부하테스트 (동시접속, 메시지 지연 측정)
Prometheus + Grafana: 응답속도, 캐시 hit ratio, WebSocket 세션 수, 크롤링 성공률 등 모니터링 대시보드 구축
단순 기능 구현이 아니라, 실제 서비스 품질까지 계량화하는 경험
핵심 차별화: 점진적 프레임워크 도입 및 철저한 성능 비교
이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단계적 프레임워크 전환과 정량적 성능 분석입니다.
점진적 아키텍처 진화 계획
예시: HashMap → Message Queue(RabbitMQ/ActiveMQ) → Redis → Kafka
시스템의 모든 컴포넌트에서 단계적 기술 스택 전환을 진행
각 전환 시점마다 성능 지표 측정 및 비교 분석 실시
실제 부하 상황에서의 기술별 한계점과 최적 적용 시나리오 도출
철저한 성능 검증 프로세스
k6를 통한 체계적 부하 테스트: 동시 사용자 100명 → 1,000명 → 5,000명으로 단계별 부하 증가
Grafana & Prometheus 실시간 모니터링: 각 아키텍처 변화에 따른 응답 시간, 처리량, 리소스 사용량 정밀 측정
프레임워크별 한계점 도출: 언제, 어떤 상황에서 특정 기술 스택이 최적인지 데이터 기반 결론 도출
WebSocket뿐만 아닌 전체 기술 스택 검증
서브 데이터베이스: PostgreSQL 단독 → MongoDB 추가 → Elasticsearch 추가 성능 비교
캐싱 및 메시징: Local Cache → Redis → Message Queue(RabbitMQ) → Kafka 처리량 분석
통신: Polling → WebSocket → Server-Sent Events 비교
모집 포지션 및 인원
백엔드 개발자 (현재 3명)
Java (JDK 17.0.12)
Spring Boot 3.5.6 / Spring Framework 6.2.11
PostgreSQL 17.6 (DB 스키마 및 배치 설계)
Linux (Ubuntu 22.04)
AWS EC2, RDS 기반 인프라
백엔드 주요 업무
Steam/Epic 가격 크롤러, API 서버, 캐싱 설계
STOMP 기반 WebSocket(구인/구직 채널) 구현
Firebase/Mailgun 기반 알림 서비스 구축
배치 파이프라인 및 DB 스키마 설계
점진적 아키텍처 전환 및 성능 측정 참여
k6 부하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및 Prometheus + Grafana 모니터링 환경 구축
SonarCloud 기반 코드 품질 관리 및 정적 분석
프론트엔드 개발자 (2명 모집)
우리는 프론트 기술 스택에 제약을 두지 않습니다. React/Vue/Next.js/Svelte 등 원하는 스택을 직접 선택하고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프론트 파트에서도 단순 UI 개발이 아니라,
실시간 WebSocket 렌더링 최적화
가격 그래프/대시보드 인터랙티브 시각화
Lighthouse 기반 성능 검증
같은 과제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결과물을 포트폴리오로 남길 수 있습니다.
UI/UX 설계 역시 프론트 주도적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프론트 주요 업무
게임 검색/비교 UI 및 가격 그래프 시각화
SockJS + STOMP 클라이언트 연동
실시간 구인/구직 채널 UI 개발
성능 모니터링 대시보드 UI 구축
※ 주니어/취준생 환영 - 팀 회의를 통해 추가적인 개발 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포지션별로 추가 모집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우리가 찾는 사람
체계적 학습에 대한 의지: 편안한 개발이 아닌, 체계적이고 철저한 성능 분석을 통한 기술적 성장을 추구하는 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추측이나 경험이 아닌, 정량적 지표를 바탕으로 기술을 선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분
엔드투엔드 아키텍처 이해: 크롤링/캐싱/배치 → WebSocket → 모니터링까지 전체 시스템 흐름을 이해하고 싶은 분
3개월 꾸준한 참여 가능: 사이드 프로젝트 특성상 꾸준한 참여와 적절한 시간 투자가 가능한 분
협업 방식 및 일정
기간: 약 3개월 (꾸준한 개발 기간)
회의: 주 2회 온라인 회의 (각 1-1.5시간) - Discord/Notion/Slack/GitHub 활용
개인별 예상 시간 투자: 주 12-15시간 (회의 포함)
프로젝트 관리: Jira를 통한 이슈 트래킹 및 스프린트 관리
개발 일정:
기본 기능 구축: Steam/Epic 가격 비교, WebSocket 구인/구직 채널, 알림 서비스
점진적 아키텍처 전환: HashMap → MQ → Redis → Kafka 등 각 단계마다 k6 부하 테스트 및 Grafana 모니터링 실시
실제 배포 및 사용자 피드백 수집: 베타 서비스 배포를 통한 실제 유저 피드백 수집 및 개선사항 도출
최종 분석: 전체 기술 스택별 성능 비교 및 최적 선택 기준 문서화
※ 각 기술 스택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소요 시간이 유동적이므로, 유연한 일정 조정을 통해 3개월간 지속적인 개발-테스트-분석 사이클을 진행합니다.
지원 방법
필수 포함 사항:
간단한 자기소개 및 기술 스택
체계적 프로젝트 참여 동기
3개월 꾸준한 개발 참여 가능 여부 (주 12-15시간 시간 투자 가능 여부)
선택 포함 사항:
GitHub/포트폴리오 링크
https://open.kakao.com/o/sJkk3KTh 에서 간단한 필수 양식을 포함한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단순한 기능 개발이 아닌, 실제 서비스 수준의 성능 검증과 기술적 의사결정 능력을 기르고, 실제 사용자 피드백을 통한 개선 경험까지 쌓고 싶은 분들의 지원을 기다립니다.
존재하지 않는 오픈채팅방이라고 뜹니다!
답글
홍진웅
2025.09.24 오후 8:16수정했습니다. 죄송해요 아무래도 띄어쓰기가 잘못돼있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