젝트 소개
젝트는 비영리 IT 사이드 프로젝트 동아리입니다.
동아리원들이 팀을 꾸려 디지털 서비스나 제품을 기획·디자인·개발하고,
전문 분야 학습과 네트워킹을 통해 함께 성장하고 있어요.
현재 누적 구성원 102명, 연 2회 기수제로 신규 멤버를 모집하며 계속해서 규모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메이커스 팀 소개
메이커스 팀은 젝트의 공식 서비스와 운영 시스템을 설계·구축·운영하는 팀입니다.
웹사이트, 지원 시스템, 백오피스 등 젝트의 ‘운영 기반’을 만들고 유지하며, 내부 유저 경험을 실질적으로 책임지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공식 홈페이지 작업을 마친 이후로는, IT 업계의 선순환을 지향하는 젝트의 가치에 따라 여러 프로덕트를 작업할 예정이에요.
백엔드 개발자로서 얻게 되는 경험
(지원 기간 기준) 한 달간 누적 약 2만 PV를 기록한 트래픽 환경을 직접 경험: 단순히 테스트용 서버가 아니라, 실제 유입과 요청이 쏟아지는 시점의 백엔드를 설계하고 안정화해야 해요.
기획자·디자이너와 함께 유저 타겟을 정의하고, 제품 방향을 조정하는 과정에 실질적으로 참여: 단기 기능 구현을 넘어서, '이 기능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판단과 우선순위 조율까지 직접 경험해요.
유저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기능 개선 및 백오피스 기능의 고도화: 운영 중인 실제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분석하고, 그에 맞춰 데이터 구조나 API를 리팩토링하는 경험이 가능해요.
명확한 기준 없이 출발한 서버 구조를 정돈하고, 지속 가능한 백엔드로 리디자인: 서비스 흐름, API 설계, DB 구조, 인증 방식 등을 다시 정의하며, 기준을 세우고 확장 가능한 형태로 다듬는 과정에 참여해요.
기능과 코드 품질 외에도 운영·배포·모니터링 등 실제 서비스 레벨의 고려 사항들을 반영하는 작업: CI/CD, 에러 로깅, 트래픽 급증 시 대응 방안 등, 실전에서만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통찰을 기를 수 있어요.
담당하게 될 작업
MVP 단계로 구현되어 있는 젝트 공식 홈페이지의 백엔드 시스템 개선
내부 운영 시스템 기능 개발 및 유지보수
기존 코드의 리팩토링, 인프라 구조 안정화 및 개선
작업은 대부분 비대면으로 진행되며, 오프라인 행사(서울·경기권) 참석이 필요한 경우도 일부 있을 수 있어요.
이런 분을 기다려요
젝트의 주요 기술 스택에 대한 이해와 구현 역량이 있는 분
AWS 환경에서 인프라 구성 및 운영 자동화 경험이 있는 분
리팩토링과 기술적 개선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분
서비스의 방향성과 목표에 함께 공감하고 고민하는 분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작업 상황을 투명하게 공유하는 분
기술 스택
Java 21, Spring Boot, Spring Security
MySQL, Redis, DynamoDB, Spring Data JPA, QueryDSL
AWS, Docker, GitHub Actions
유의할 점
젝트의 운영진과 메이커스 팀은 금전적 보상 없이 활동해요.
하지만 그만큼 애정 있는 동료들과 실제 프로덕트를 함께 만들고, 같은 직군과 깊이 있는 협업을 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예요.
이 경험은 단순히 포트폴리오에 남는 걸 넘어서, 내가 만든 결과물에 대한 책임감과 자부심으로 이어져요.
가이드라인 없이 시작하는 만큼, 주도적으로 방향을 설정해가며 만들어가는 재미가 있는 팀이에요.
지원 방법
구글폼을 통해 지원 가능합니다. 혹은 아래의 링크를 이용해주세요.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EUh4HCwHOWDDLlSC0wjHG1QXSdC_wdBsTeOWTRh8OPU5GEw/viewform
문의 사항은 jectofficial@ject.kr 로 이메일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