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부스트캠프, 제로베이스, 멋쟁이사자처럼, 랠릿, 대학교 등 특강 및 협업 경험 다수
금융 IT 기업에서 결제 도메인의 기술 고도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발자의 커리어 성장을 돕기 위해 기술뿐만 아니라 이력서 작성 및 채용 프로세스에 대한 노하우도 공유하고 있습니다. 실무에서 검증된 경험과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개발자가 더 나은 기술적 역량과 커리어를 쌓을 수 있도록 돕는 강의를 제공합니다.
contact: code.57x53@gmail.com
講義
受講レビュー
- 書類選考通過率4%から抜け出すエンジニア向け履歴書の書き方(実践含む)
- 書類選考通過率4%から抜け出すエンジニア向け履歴書の書き方(実践含む)
- 書類選考通過率4%から抜け出すエンジニア向け履歴書の書き方(実践含む)
- 書類選考通過率4%から抜け出すエンジニア向け履歴書の書き方(実践含む)
- 書類選考通過率4%から抜け出すエンジニア向け履歴書の書き方(実践含む)
投稿
Q&A
안녕하세요, 경력기술서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정말 구체적인 질문을 남겨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냥 이력서를 자세하게 작성하셨다면, 경력기술서로 제출하셔도 무방합니다.경력기술서는 이력서의 상세 버전인가요?자주 느끼지만, 이력서와 경력기술서의 경계가 명확하진 않습니다. 이력서와 경력기술서를 동일한 선상에 놓고 보는 기업도 있거든요. 심지어 본인이 이력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했다면 그건 그대로 이력서이자 경력기술서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기 때문에 굉장히 애매합니다..어쨌든 정의를 내려드리자면 이력서가 핵심만 요약된 것이라고 한다면, 경력 기술서는 서술형 중심으로 경험을 풀어낸 상세 이력서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반대로 이력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해두었다면 경력기술서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겠죠. 포트폴리오와 경력기술서 차이?혼동하기 쉬운데요, 텍스트 위주로 구성된 것이 경력 기술서이고 보통 PDF로 제출을 합니다.또한, 실제 진행하신 프로젝트나 경력에서 맡았던 역할을 서술하는 것입니다.반대로 포트폴리오는 산출물 중심입니다. (코드, 화면, 배포링크,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DB설계서 등)그리고 경력기술서보다 한 depth 더 들어가서 에피소드들을 더 자세하게 풀어 나가는 것이 포트폴리오에요.블로그 예시가 경력기술서로 적합한가요?해당 블로그에서는 이력서와 경력기술서를 동일 선상에 놓고 서술한 글 같습니다.레퍼런스 중에서는 셋 다 훌륭한 레퍼런스지만, 향로님과 유용우님의 문서가 좀 더 최신화 되어 있기도 하고, 내용이 상세하게 적혀져 있어 이 두 레퍼런스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경력 기술서를 작성하고나면 이력서와 경력기술서를 같이 제출하면 될까요?이력서(요약)와 경력기술서(상세)를 따로 작성하신다면, 둘 다 제출하시면 됩니다!만약 시간 관계상 경력기술서밖에 작성을 못했다면 그것만 제출해도 무방할 것 같아요.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0
- 1
- 15
Q&A
포트폴리오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말씀하신 방향은 이직 준비에 있어 굉장히 전략적으로 좋은 접근입니다. 특히 서비스 기업을 목표로 하시는 백엔드 개발자라면,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한 아키텍처 설계 및 문제 해결 역량 어필은 강력한 차별화 요소이자 부족한 역량에 대한 보완책이 될 수 있습니다.지금 채용 시장은 그저 개발했다 수준으로는 어필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생각됩니다.특히 서비스 기업은 기획 → 설계 → 운영까지 서비스 관점에서 문제를 풀고 개선한 경험을 중요하게 보니까요.다만, 포트폴리오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단순히 기술 나열이 아니라 ‘왜 그렇게 선택했는지’도 함께 기술해주시면 좋을 것 같고,클라우드 도입도 그저 썼다보다, ‘무엇을 위해 어떤 선택을 했는지’를 핵심적으로 나타내면 좋겠습니다.문제 상황은 현실에 있을 법한, 실제 기업의 운영 이슈를 닮은 내용일수록 설득력이 높습니다. 서비스 기업의 니즈(서비스 관점의 문제 해결, 운영 안정성 등)를 잘 반영해 구성하신다면, 이전 경력을 보완하는 훌륭한 포트폴리오가 될 것 같네요.감사합니다.
- 0
- 2
- 15
Q&A
경험에서 눈에 띄는 결과가 없으면 어쩌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핵심은 성과보다 맥락 + 문제 해결 과정입니다.지금 강의에서 강조하는 경험 브레인스토밍은 단지 결과(성과)만을 나열하자는 게 아니에요.오히려 중요한 건 "왜 그 일이 주어졌고, 어떤 고민 끝에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는지, 그 안에서 나의 판단이나 행동이 어떤 의미였는지"입니다.즉, 결과가 미미해도 그 안의 '맥락과 과정'이 분명하면 경쟁력이 생깁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작성할 것이 없다면, 현실적인 이야기지만 말씀하신대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내가 원하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스택이나 경험을 채워 나가는 것을 권장드립니다.추석 연휴에 이 질문을 작성해주셨는데, 연휴에도 고민하신만큼 끝까지 노력하셔서 좋은 결과 있음 좋겠네요.화이팅입니다!!
- 0
- 2
- 24
Q&A
경력이 유지 보수 위주라 프로젝트가 없습니다.
@cosiw 안녕하세요.좋은 질문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경력이 유지 보수 위주라 프로젝트를 어떻게 채워야 할지 고민된다는 말씀 충분히 이해합니다.다만 질문자님의 실제 경험이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이었는지 알 수 없어, 아래 내용은 일반적인 방향성 차원에서 참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많은 분들이 프로젝트라 하면 신규 개발을 떠올리지만, 사실 유지 보수 역시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을 이루어낸 활동이라는 점에서 프로젝트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단순히 "버그 수정"이라고 쓰는 대신, "서비스 장애 원인을 분석하고 재발 방지 조치를 적용하여 에러 발생률을 감소시킴"처럼 문제 → 조치 → 결과 구조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지 보수에서 강조할 수 있는 포인트도 여러가지가 있을텐데요.장애 대응 →긴급 상황 처리, 로그 분석, 재발 방지 프로세스 마련성능 개선 → 쿼리 최적화, 캐시 적용, 응답 속도 단축코드 품질 관리 → 리팩토링, 테스트 코드 보강, 기술 부채 해소운영 효율화 → 반복 작업 자동화, 배포 프로세스 개선사용자 불편 해소 → 고객 불만 감소, UI·UX 개선 기여이런 내용은 단순 업무처럼 보일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프로젝트 못지않은 무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영역 구성 방법실제 프로젝트가 부족하다면 유지 보수 경험을 성격별로 묶어 프로젝트처럼 보여주는 방식이 유용합니다.대표적으로 묶을 수 있는 예시로는장애 대응 및 성능 개선 경험운영 자동화 및 효율화 경험레거시 코드 품질 개선 경험이런 식으로 제목을 붙여 정리하는 방법입니다. (프로젝트 단위가 아닌 경험&역량 위주로 묶는 방식이죠!)경험 브레인스토밍과 구체화 과정을 활용해 보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유지 보수 속에서도 내가 주도적으로 해결한 문제, 팀이나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개선을 가져온 경험을 찾아내면 프로젝트 항목을 채울 수 있습니다.정리하자면 핵심은 단순한 '유지 보수'라는 표현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문제 해결과 성과 중심으로 경험을 재구성하는 거에요.질문자님의 경험을 말씀해 주시면 좀 더 구체적으로 답변이 가능하니, 필요하시다면 추가로 댓글을 달아주세요~!
- 0
- 2
- 81
Q&A
피드백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너무 아쉽지만 해당 이벤트는 2024년에 종료된 이벤트입니다 😭(사진)목차에 표기를 해두었지만 조금 더 명확히 고지를 해야겠네요..!열심히 이력서 작성도 해주셨을텐데 기대하셨던 피드백을 드리지 못해 죄송한 마음뿐입니다 ㅜㅠ대신 디스코드 채널을 이용해서 언제든 질문을 남기실 수 있으니 해당 채널을 적극적으로 이용해보심을 추천드립니다!!
- 0
- 2
- 75
Q&A
경험구체화중입니다.
안녕하세요!지식공유자 강승현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GPT에게 도움을 받아 질문을 정리하는 방식도 충분히 괜찮습니다.특히 어떤 부분을 질문해야 할지 막막하거나, 머릿속에 있는 생각을 글로 정리하기 어려울 때는 GPT가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다만, 한 가지 꼭 강조드리고 싶은 점은, 질문을 "생성"하는 것보다 중요한 건 "이력서 작성에 대한 본인의 고민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가"입니다.왜냐하면, 강의에서 강조하는 "브레인스토밍"이란 게 단순히 과거 경험을 나열하는 게 아니라,왜 이 경험이 의미 있었는지무엇을 배웠고, 어떻게 성장했는지이게 나의 어떤 역량과 연결되는지를 본인이 먼저 정리하고 파악하는 과정이기 때문이에요. 이 과정을 건너뛰고 GPT한테 질문을 전적으로 맡기면, 결국 중요한 '이력서 고민의 본질'을 놓칠 수 있습니다. 추천드리는 방법은요.막연한 생각이라도 좋으니, 먼저 짧게라도 본인의 고민을 써보세요. (예시. "내 경험이 너무 평범해서 임팩트가 없어 보이는 것 같아요.")그 다음, GPT에게 "이걸 더 날카로운 질문으로 다듬어줘", "본질적인 질문으로 만들어줘" 등등.. 라고 요청하시는 겁니다.이렇게 하면 자기 경험에 대한 고민은 유지하면서도, 더 구체적이고 좋은 질문을 도출할 수 있어요. 그럼, 이력서 작성 완료까지 화이팅입니다!!
- 0
- 2
- 88
Q&A
안녕하세요 브레인스토밍을 본격적으로 시작할건데요
안녕하세요! 이 시점에서 브레인스토밍을 어떻게 시작하고 구성할지 고민이신 분들이 많을텐데 좋은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말씀하신 내용을 정리하면2021년에 입사해서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시작하셨고,2022년~2023년은 그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계속 개발하셨으며,2024년에 다른 실무 프로젝트를 맡으셨고,2025년부터는 부트캠프에 참여하시면서 여러 프로젝트를 하셨네요. 질문하신 핵심은"2022~2023년에 별도 내용을 써야 하는가, 아니면 2021년에 묶어서 작성해도 되는가?" 로 이해했습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2022~2023년을 따로 나눠 쓸 필요는 없지만, 그 시기의 ‘경험’이 녹아들 수 있도록 구체적인 브레인스토밍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지 조언드릴게요.1. 단일 프로젝트라도 '시간 흐름에 따른 역할 변화'나 '기여한 기능' 중심으로 나누기2021년에 시작한 프로젝트가 2023년까지 계속됐다면, 해당 기간 동안 본인의 역할이 어떻게 변했는지, 처음엔 어떤 업무를 맡았고 점차 어떤 책임을 지게 되었는지, 이런흐름을 먼저 정리해보세요.예를 들어 "2021년2022년 상반기: 기존 시스템 기능 유지보수 및 신규 기능 개발 참여", "2022년 하반기2023년: CI/CD 자동화, 인프라 개선 주도" 같은 식으로 역할을 나눠보는 거예요. 2. 당시에 구현한 기능이나 해결한 문제 기억해내기지금 딱히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당시 맡았던 업무나 기능 구현, 장애 대응, 코드 리뷰 경험 같은 것들을 끄집어낼 수 있도록 떠올려보셔야 해요.이건 단순히 '기간'을 채우기 위한 게 아니라, 이력서에 구체적 경험을 녹이기 위한 준비 과정이니까요. 3. 브레인스토밍은 시기보단 ‘경험 단위’로 구분예를 들어 "A 프로젝트에서 ○○ 기능 개발", "△△ 기능 리팩터링 및 테스트 코드 작성" 같은 식으로 기억나는 단위마다 정리하시면 됩니다. 그게 2021년이든 2023년이든 중요하지 않아요. 정리하자면,2022~2023년 내용을 따로 ‘연도 기준’으로 분리해서 쓰는 건 필수 아님다만, 그 시기에 해당하는 프로젝트의 ‘세부 경험’을 기억해내고 구체화하는 브레인스토밍은 꼭 필요기억나는 내용이 없다고 넘어가기보다는, 시간을 들여 경험을 더듬고, 역할 변화, 기능 개발 등을 중심으로 끄집어내 보세요.아직은 이력서 작성이 아니라 "기억을 되살리고, 스스로를 이해하는" 시간이에요. 그래서 힘들지만 매우매우 중요한(이력서의 초석을 다지는) 단계입니다.더 궁금하신 점 있으면 편하게 질문주세요!!
- 0
- 3
- 81
Q&A
백엔드 5~7년차 이직 포트폴리오에 진행한 프로젝트 aws 아키텍처가 있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kakinam님!답변 드리면, 포트폴리오에 AWS 아키텍처를 함께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래와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기술 선택과 구조에 대한 판단력을 보여줄 수 있어요백엔드 경력자라면, 단순히 "어떤 기술을 사용했는지"뿐만 아니라 왜 그 기술을 썼고,어떻게 구성했는지에 대한 설계 능력이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당연하겠지만, 말로만 설명하는 것보다 훨씬 설득력 있어요대체로 시스템 디자인 면접은 상호 소통 방식입니다.시니어 면접관들은 보통 "아키텍처 구조를 먼저 그려 보라"고 말한 뒤, 이를 바탕으로 깊이 있는 질의 응답을 통해 면접자의 경험과 지식을 확인하는 방식이죠.그런 이유에서, 시각적 다이어그램은 논의의 출발점이 됩니다. 미리 다이어그램이 있다면, 면접에서 "이 부분에서 이 의사결정한 이유는?", "이렇게 스케일링한 방식은?"처럼 구체적이고 실무 중심적인 질문을 자연스럽게 끌어낼 수 있어요. 대화 흐름이 자연스럽고 심도 있게 흘러갑니다. 단순히 "코드로 설명해주세요" 보다는, 도표를 통해 구조를 잡고 왜 그렇게 구성했는지, 어떤 트레이드오프가 있었는지 면접관과 동일한 그림 위에서 대화할 수 있을 거에요. 비교 우위 확보실제로 많은 지원자들이 텍스트 중심으로 이력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아서, 시각 자료가 포함되면 시선을 끌고, 기억에도 남기 쉬워요. 그리고 마지막 문장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기술 면접에서 아키텍처 구조를 직접 그려보라고 요청하는 경우는 흔합니다. 그래서 어떤 분들은 굳이 이력서나 포트폴리오에 미리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시기도 해요.하지만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을 미리 준비해두는 것은 생각보다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프로젝트 구조에 대한 이해도를 사전에 보여줄 수 있고, 면접관이 더 좋은 질문을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구조도를 미리 보면, 면접관도 질문을 더 구체적으로 던질 수 있어요. 이건 곧 면접이 더 깊이 있는 대화 중심으로 흘러간다는 뜻이기도 해요.본인도 구조를 정리해보며 기술적 복기(회고)를 할 수 있어요. (가장 큰 이점이라고 생각합니다)아키텍처를 도식화하려면, 왜 그렇게 설계했는지 다시 생각해보게 됩니다. 이 과정이 면접에서 말할 내용을 더 명확하게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즉, 면접에서 물어볼 거니까 미리 안 해도 된다는 접근보다는,“어차피 물어볼 거니까 미리 준비해두면 오히려 유리하다”는 관점이 더 맞습니다. (오히려 좋아인거죠)그리고 꼭 모든 프로젝트에 다 넣을 필요는 없고, 핵심이 되는 대표 프로젝트 1~2개만 구조화해도 충분합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
- 0
- 1
- 122
Q&A
프로젝트에 어떤 프로젝트를 넣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지식공유자 강승현입니다.본문의 질문과 추가로 댓글 남겨주신 질문도 정리하여 답변드립니다. 1.인턴 경험은 "경력"에 작성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핵심은 질문자님의 역할, 사용 기술, 기여(성과)를 중심으로 작성하는 거니까요.경력사항 예시)ㅇㅇ 기업 / 인턴 / 기간사용기술: Redis, Github Actions, Java ...- 대형 물류 시스템 내 발주처리 백엔드 기능 유지보수 및 개선- 트래픽 병목 해결을 위해 Redis 기반 캐싱 구조 개선- 배포 자동화를 위해 CI 파이프라인 일부 개선 참여 (GitHub Actions 사용)2. 부트캠프는 "대외활동"으로, 프로젝트는 따로 "프로젝트" 항목에 작성하세요.부트캠프 자체는 어떤 환경에서 어떤 기술을 학습했는지 중심으로 대외활동에 정리하고, 그 안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항목에 상세히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그리고 Django로 진행한 프로젝트라 하더라도, Spring 기반 포지션에 지원하는 데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Spring에 대한 이해도나 응용력은 다른 경험으로 뒷받침 하면 되고, Django로 진행한 프로젝트에서는 문제 해결 능력과 프로젝트 완성도를 보여주면 됩니다.👉 즉, 언어의 적합성보다도 어떻게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했는지를 드러내는 것이 중요합니다.다만 Django 프로젝트 외에도 작성할만한 유의미한 경험이 있다면("유의미"라고 한 것은 무작정 프로젝트 갯수가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적합성을 비교하여 생략해도 무방합니다.3. 내용이 많을 경우는 "중요도 기준으로 정리"하세요.부트캠프 전체를 자세히 다 쓰기보단, 기술 성장에 도움이 되었던 부분 위주로 요약해서 작성하시길 바랍니다.프로젝트는 중요도/완성도 높은 1~2개만 상세히 작성하고, 나머지는 간단히 목록화해도 됩니다. 정리자하면,인턴 경험은 경력란에 작성하시고, 부트캠프는 대외활동과 프로젝트로 나눠 구조화해서 작성하며, 내용이 많을 땐 지원 포지션에 맞는 키워드 중심으로 요약&생략해보세요.이게 이력서와 면접 모두에 효과적인 방향입니다! 또 궁금한 점 있으면 남겨주세요.감사합니다.
- 0
- 3
- 101
Q&A
이력서와 포트폴리오에 대한 프로젝트 질문입니다.
아래 질문과 동일하여 링크를 남겨둡니다!https://inf.run/grzRF
- 0
- 2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