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라인에서 Spring 백엔드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근 몇 년간 WebFlux와 LLM활용에 심취해 있었는데요,
그동안 쌓아온 경험과 지식을 짧은 강의에 녹여, 아주 쉽게 전달드리겠습니다.
講義
受講レビュー
- Spring WebFlux + LLM 実戦実装
- Spring WebFlux + LLM 実戦実装
- Spring WebFlux + LLM 実戦実装
- Spring WebFlux + LLM 実戦実装
投稿
Q&A
안녕하세요 혹시 강의 내용 소스코드를 제공 받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소스 코드는 매 강의의 강의 자료란에 첨부되어있습니다.확인 한번 부탁드립니다~
- 0
- 2
- 19
Q&A
기본적 동작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수강생분 잘 이해 하고 계신것이 맞습니다. 질문을 정리해보자면어차피 Mono와 Flux코드를 하나의 이벤트 루프 스레드가 구독해서 전부 처리할것이라면그냥 Mono나 Flux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에 코드 짜던것처럼 동기적으로 코드를 짜도 똑같이 동작하는게 아닌가?의 질문으로 이해했습니다. 블로킹이 없는 로직에서는 수강생분께서 말씀하신것처럼 Mono Flux코드를 전부 동기적인 코드로 바꿔도 성능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강의 소개에서 말씀 드렸던 치킨의 예시가 있었는데요, 치킨을 주문과 동시에 바로 받을 수 있다면 tomcat과 netty에 어떤 성능 차이가 있을지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편할것 같습니다. 반면에 IO 대기와 같은 블로킹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가 발생한다면 어떻게 될까요?IO대기가 발생한다면 이벤트 루프 스레드는 반드시 이벤트 루프로 복귀 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동기 api(webclient, r2dbc)를 사용하여 OS한테 대기를 맡기거나스케쥴러를 사용하여 IO대기를 대신 수행합니다.그리고 대기가 완료 되었을때 비동기 api의 경우 다시 이벤트 루프 스레드를 할당받아 후속 작업을 처리하게 됩니다.이런 수 없이 발생하는 스레드의 변경을 유연하게 처리하는대에 Mono와 Flux만큼 쉽고 간편한 방법이 없습니다.Mono와 Flux를 사용하면 스레드를 적재적소에 할당하여 성능을 보장하고 그에 대한 구현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고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10. 가장 중요 - WebFlux에서는 블로킹 처리를 어떻게 해야 할까?편과강의를 모두 들으신 후에 24. GPT API와 다중 통신 - Chain of Thought 2 이편에서 스레드 흐름을 같이 복기해보시면 더 나은 이해를 가져가실 수 있을듯 합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부분 있으시다면 질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1
- 2
- 29
Q&A
노트북으로 강의 보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한 다음 강의 개선 요청
아라레님 안녕하세요!소중한 피드백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주신 의견을 바탕으로 다음 강의에서는 IDE 폰트를 키우고, 작업화면을 최대한 넓게 활용하여 노트북에서도 쾌적하게 수강하실 수 있도록 개선하겠습니다.강의 내용을 좋게 봐주신 만큼 다음 강의에서는 보시는 데에 불편함이 없는 양질의 영상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
- 2
- 1
- 53
Q&A
다음 강의는 언제 나올까요?
안녕하세요.이미 강의 자료와 커리큘럼은 모두 준비된 상태입니다만 업무상 일정이 겹쳐서 녹화가 조금 지연되고 있습니다.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다음 강의에서도 찾아뵐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강의 좋게 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_ _)
- 1
- 1
-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