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개발자 J 입니다.
개발자는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입니다. 여기서 문제라는 것은 코딩 뿐만 아니라 생활에서 맞닥뜨리는 모든 것들이 해당됩니다. 저는 이러한 문제들을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한 효율적으로 해결하는데 집중합니다. 또한 논리적이고 현실적인 시각으로 원하는 목표에 근접하는 결과물을 내려고 노력합니다.
현재는 “취업 및 이직”이라는 대중적인 문제에 대해 저의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경력
현) 네카라쿠배 중 한 곳
전) 네카라쿠배 중 한 곳
contact: jaytech108@gmail.com
講義
受講レビュー
- サーバー開発者課題選考完全ガイド - 1編
- サーバー開発者課題選考完全ガイド - 1編
- サーバー開発者課題選考完全ガイド - 1編
投稿
Q&A
Spring Cloud 버전 관리 문제
안녕하세요 kimoon님!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2.5' ... mavenBom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dependencies:2023.0.1"버전을 위와같이 맞춰주시거나 혹은 말씀하신 버전을 사용하려면 아래 공식문서를 통해서 호환되는 버전을 찾아서 명시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문서에 따르면 2024버전을 사용하시면 될 것으로 보이네요~https://spring.io/projects/spring-cloudhttps://github.com/spring-cloud/spring-cloud-release/wiki/Spring-Cloud-2024.0-Release-Notes
- 0
- 2
- 26
Q&A
AsyncExcutor 설정값 질문
안녕하세요 파이리이2님! ☺캐싱된 값반환을 예시로 들어주셨는데요~ 일단은 운영체제나 JVM의 자원제한으로인해 (프로세스당 최대 스레드수제한 등) 스레드 생성자체가 무한대로 생성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응답이 빠르게 보장된 요청들의 경우 스레드 자체가 오래 점유되지 않고 풀에 반환되어 재사용됩니다. 이로인해 스레드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기보다는 일정수준에서 안정화가 됩니다. 이 설정의 목적은 처리 가능한 요청을 큐에 쌓아 지연시키는 대신 즉시 스레드로 빠르게 처리하는 것입니다.요지는 요청을 처리를 할수는 있는데도불구하고 제한을 걸어 일부요청이 지연이 생기거나 하는경우를 방지하는것입니다. 순간적인 burst 상황에서는 스레드 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어 메모리 사용량이 커질 위험이 있긴합니다만, 이를 대비하기 위해 과거트래픽패턴을 기반으로 자원을 휴리스틱하게 설정하거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스레드 수와 메모리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이벤트성 트래픽은 대부분 사전에 예측 가능하므로 캐시 클러스터 확장, 웜업등을 통해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겠죠.추가로 전제조건은 응답이 빠르게 와야하는것입니다. 캐싱시스템을 찌른다면 히트율에 신경을 써서 구축을해야될것이고 외부서비스라면 서킷등을 통해 응답시간을 보장받아야할거구요!답변이 좀 되었을까요 🙏
- 0
- 2
- 23
Q&A
17강 api서버구현2 질문있습니다.(ai답변이 이상합니다.)
안녕하세요!요거 확인이 늦었네요!전달주신 코드를 보니 강의내에서 사용되는 버전과 상이한것으로 보여서요, 먼저 강의자료내에서 사용된 버전과 동일하게 맞춰보시겠어요?
- 0
- 2
- 56
Q&A
16강 api서버구현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해당 부분은 BookRepository를 Mocking한 테스트로 bookRepository 자체의 응답값을 검증하는게 의미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받은 인자를 내부적으로 BookRepository를 호출하면서 넘기게되는데, 해당 인자가 가공없이 그대로 잘 넘어가는지에 대한 테스트라고 봐주시면 될 것 같아요 ☺
- 0
- 2
- 26
Q&A
14번쨰 부분 중 질문드립니다..<ai답변으로 해도 안되요>
안녕하세요 zzzzz님~넵 보내주신 내용확인했으며 테스트코드내 placeholder에 값이 제대로 세팅이 안된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에러메세지 첨부하여 회신드렸습니다 ☺
- 0
- 2
- 64
Q&A
리액트 실무 경험 부재
안녕하세요 고은님~ 아무래도 기본적인 필수요구사항은 충족시키는것이 합격 확률을 높이는데있어서는 필요한 작업입니다. 과거에는 react, vue, angular ... 와 같이 여러 선택지가 있었던거같은데 시간이 지날수록 react가 수요를 잡아먹은거같습니다.개인프로젝트 하신것도 이력서에 쓰셔도 되긴합니다. 다만 현업 경험보다는 파워가 떨어질거라 몇년 경력을 가지신분들께는 굳이 쓰지 말라고 말씀드리기도 합니다. 이력서의 공간은 한정적이고 개인프로젝트가 정말 특별하지 않는이상 현업에서 했던 일들을 쓰는게 더 경쟁력이 있으니까요.제가 이력서나 지원하신 현황은 잘 모르겠지만 말씀주신 상황에 비추어보았을때 일단 계속 서류를 탈락하는것에 제일 큰 가정중 하나가 react라는 필수요구사항의 부재라고 보는것이 합리적으로 보입니다.해서 2가지를 제안드립니다.현재 직장에서 react 활용하기개인 프로젝트를 통한 학습1번은 vue를 쓰고있는데 어떻게하나요라고 생각하실수도있어요. react를 현장에서 쓸 수 있는 환경을 만드셔야합니다. 신규프로젝트를 어떻게든 시작해보거나 같이 끼세요. 그리고 기술스택을 react로 하는거죠. 혹은 기존에 vue로 돌아가고있는 작은 프로젝트라도 react로 갈음 할수도있습니다. 두번째꺼는 살짝 억지스럽기도한데요, 적절한 상황과 이유를 만드셔야합니다. 6년차시면 어느정도 팀내에서 기술적 선택을 주도해볼수도있는 연차입니다. 지금으로써 이 방법이 제일 최선의 방법으로 생각됩니다. 힘든상황이지만 나에게 조금이라도 유리한 상황을 만들기위해서 노력하셔야 합니다.2번은 지금도 하고계신것처럼 꾸준히 하시고, 이력서에 개인프로젝트란에도 써보셔도되구요. 1번은 시간이 걸릴수있어요. 최소 3개월에서 6개월 준비한다고 생각하시고 이력서 업데이트해서 다시 찔러보시죠. 지금 5월인데 3개월에서 6개월이면 가을~겨울 초입이네요. 이때 사람들 잘 안움직입니다. 해서 시장 경쟁률 좀 낮을걸로 생각됩니다. 전략적으로 준비해서 비수기때 다량의 지원해보시죠! 👍화이팅하시고 어려우신점 있으면 다시 질문남겨주시구요! 🙏
- 1
- 2
- 49
Q&A
서비스에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시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진우님~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더라도 읽기작업만 일어나는경우에는 readOnly true 옵션으로 작업의 명확성과 최적화를 위해 애노테이션을 달아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서비스레이어라고 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지 않는경우에는 붙일 필요가 없겠구요) 조회담당 서비스에 빠져있다면 추가하셔서 진행부탁드리겠습니다 🙏
- 0
- 2
- 107
Q&A
멀티모듈 구성 질문입니다.
이 부분은 메일로 해결 드렸습니다 🙏(인텔리제이 재설치로 해결)
- 0
- 3
- 142
Q&A
멀티모듈 구성 강의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메일로 해결 드렸습니다 🙏(인텔리제이 재설치로 해결)
- 0
- 3
- 121
Q&A
NaverClientTest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zzzzz님~(일단 디버깅같은경우는 에러메세지의 제일 하단의 cause를 확인해보시면 될거같아요)첨부주신 내용을보니 잘못 설정되어있는 부분들이 있네요!테스트코드의 구성은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해보시겠어요?@SpringBootTest(classes = XXXClientTest.TestConfig.class) @ActiveProfiles("test") class XXXClientTest { @EnableAutoConfiguration @EnableFeignClients(clients = XXXClient.class) static class TestConfig{}그리고 application-test.yml에는 active profile이 local로 들어가있네요. 요 설정도 제거해주시구요!그래도 안된다면 제 메일로 다시 문의를 부탁드리고, 강의에 나와있는대로 (혹은 강의자료 참고) 따라서 진행해보시면 해결될것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
- 0
- 2
-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