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稿
Q&A
선생님 안녕하세요. 해당 강의 질문이 아니라 다른 강의에서 질문 드립니다.
넵 기본이 무중단 배포로 실습을 진행합니다~! 사실 무중단배포는 쿠버네티스에서 기본옵션으로 제공되어서, 어려운 기술은 아닙니다. 해당 강의에서 실전에서 필요한 대부분 요소를 넣어놨다고 생각하셔도 될것 같아요~!
- 0
- 1
- 11
Q&A
5. websocket, stomp 비교 강의 질문
일단 첫번째 방법은 우리 수업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니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두번째 방법은 바로 브로커를 통한다는 것 같은데, 이 경우는 스프링 서버의 stomp를 브로커로 쓰지 않는 경우가 되겠죠. rabbitmq와 같은 제3의 브로커 전문 솔루션을 두고 채팅의 브로커로 활용할수 있는 방안이 있겠습니다. 실제로도 실무에서 활용하는 방식이고, 장점이라고 하면 main스프링 서버에 부하를 줄일수 있다는 장점과 topic의 메시지들을 더 안정적으로 보관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볼수 있겠습니다.다만, 구조적으로 서버를 완전히 거치지 않을수는 없을것이고, 서버를 통해 websocket연결까지와 인증작업까지는 진행해야 할것으로 보여집니다. 서버 단에서는 직접 topic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처리하지 않고, 단순히 외부 브로커로 relay만 하는 구조. 이정도로 보시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0
- 2
- 12
Q&A
http,websocket의 비교
연결이 맺어지면 양방향 통신이 되지만, 구조적으로 서버가 먼저 연결요청을 보낼 수는 없습니다. 연결맺기전까진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를 모르기 때문이죠~!!
- 0
- 2
- 14
Q&A
JwtTokenPriver를 주입받는 곳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토큰의 생성은 일반적으로 서비스 레이어에서 진행합니다. 다만 사용자에게 최종적인 return은 구조적으로 컨트롤러에서 할수밖에 없습니다.
- 0
- 2
- 12
Q&A
노션 URL 못찾음
https://picturesque-staircase-f6e.notion.site/Spring-Cloud-MSA-1a123940dccf8056b59ed720a05f938d?pvs=74(사진) 안녕하세요. 수업자료에 위와 같이 링크를 걸어놨는데, 혹시 안보이셨을까요?!
- 0
- 1
- 15
Q&A
redis 개발 환경 수정 시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실무에서 rdb를 그렇게 백업하는건 흔한일인데, redis의 경우 어떤데이터가 redis이 쌓이는지에 따라 달라질것 같습니다.보관의 의미가있는 데이터인경우와 보관의 의미가 없는 데이터인지를 따져야할것 같네요.
- 0
- 2
- 10
Q&A
질문
선수 과정 아니에요~! 물론 들으면 도움은 되시겠지만, 제가 MSA 개괄적인 내용에 대해서 어느정도 상세하게 설명을 하고 갑니다~!
- 0
- 1
- 21
Q&A
6, 도메인구성 강의에서 ddl-auto: update 부분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update로도 최초 테이블 구성이 됩니다. 다만, 컬럼의 길이나 타입 변경시에 자동반영이 안되기에 개발의 편의상 create모드로 두고, 혼란의 여지를 없애고자 했습니다~!
- 0
- 2
- 25
Q&A
프론트엔드에서 Auth.js를 사용했을 때, 질문 있습니다.
찾아보니 auth.js는 인가코드를 받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네요. 그런데, 현재 저희 수업에서 다루는 2가지 방식 중에 서버에 의존적으로 로그인과정을 진행하는 방식을 사용할거면, 굳이 별도의 라이브러리 자체가 필요 없긴합니다. 그냥 서버에서 지정한 화면만 아래와 같이 라우팅 해주면 됩니다.ex) http://localhost:8080/oauth2/authorization/google그래서 이 방식 또한 next.js에서 사용하는 auth.js의 기능을 살리는 방향은 아닐것 같아요.auth.js를 활용한 방식에 대한 레퍼런스를 더 찾아봐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와 별개로 제 개인적으로는 auth.js자체를 쓸필요가 없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희 수업에서도 어떠한 라이브러리 없이 일반적인 axios를 통한 http요청으로 로그인 처리를 하고 있으니, 프레임워크와 상관없이 동일하게 구현하면 될것 같습니다.
- 0
- 1
- 27
Q&A
[질문] 소셜 로그인한 적이 없다면 회원가입 시키기
안녕하세요~! 답변이 조금 늦었습니다.제가 고민해보니, 말씀해주신대로 email로 검증하는게 오히려 더 맞을것이란 생각이듭니다.만약 같은 이메일을 쓰더라도 로그인한 플랫폼이 다른 경우엔 다른 사용자처럼 취급할목적으로 socialId로 검증할수도 있겠지만,email에 어차피 unique가 걸었다는것 자체가 같은 이메일에 대해 로그인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뜻이므로, 오히려 socialId로 검증하면 나중에 email insert시에 에러가 발생할 여지도 있기 때문에 애초에 email로 검증을 하는 말씀해주신 방안이 더 나은 방안이 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 0
- 2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