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コミュニティ Q&A

dfdssdsd のプロフィール画像
dfdssdsd

投稿した質問数

銀行サーバープロジェクト実習を通じて学ぶKotlinマスタークラス

ロジックのまとめおよび並行性に関する考察

@Transactional.kt에 대한 효용성 질문

解決済みの質問

作成

·

92

0

강사님 안녕하세요.

코틀린을 자바처럼 쓴 제 자신을 혼내면서(?) 열심히 청강 중입니다.

 

강의에서 작성하신 Transactional.kt 코드를 보면

스프링의 TransactionTemplate을 활용한 명시적 트랜잭션 제어 방식과 큰 차이점이 없어 보입니다.

 

코틀린 래핑방식으로 사용했을때 어떤 장점이 있는걸까요?

제가 생각한 래핑 방식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코드 스타일, 네이밍, optional 옵션 추가 등에서 약간 더 자유로움

  • 예를 들어 여러 종류의 트랜잭션 처리 규칙(특정 로그, 메트릭, 롤백 조건 등)을한곳에 구현해서 공용유틸로 쓰기 좋고,

  • 내부 구현을 추후 TransactionTemplate, PlatformTransactionManager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손쉽게 변경 가능

 

트랜잭션 코드에 특별히 넣어야 할 커스텀 공통로직"이 없다면, 웬만하면 @Transactional / TransactionTemplate만으로 충분하다는 생각입니다.

 

정답은 없고 팀의 규칙마다 다를것 같아요. 강사님 팀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사용중이신가요?

 

강의 찍어주셔서 감사합니다앗~!
(개인적인 사견인데 말씀하시는 중에 '죄송합니다'는 안하셔도 될것 같아요~!)

kotlinmysqlmongodbkafkaredis

回答 1

1

Hong님의 프로필 이미지
Hong
インストラクター

https://inf.run/1NWxq

해당 질문과 중복되서 생성이 된거 같습니다!! 해결처리해 두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차차~ 감사하니닷

dfdssdsd のプロフィール画像
dfdssdsd

投稿した質問数

質問す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