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rses
Reviews
- Memorize and finish the core network theory - Basics
- Memorize and finish the core network theory - Basics
- C Programming for Beginners
- Become a computer science major by memorizing broadly and shallowly
- Memorize and finish the core network theory - application
Posts
Q&A
마지막 열의 노드를 삭제하였을때 읽기 엑세스 위반 발생 건
if문으로 NULL인지 체크하면 비정상 종료는 막을 수 있겠으나 더미 헤드와 테일 노드가 모두 운영되는 상황이라면 그런 체크 없이 잘 작동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0
- 2
- 8
Q&A
원자성과 동기화에 대한 사소한? 질문 있습니다.
개발자들이 흔히 '원자성이 보장된다' 라는 표현은 두 가지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특정 변수 접근에 대한 원자성과 '코드 구간'에 대한 원자성이라는 표현이 있지요. 큰 의미로 보면 둘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 같습니다. 물론 굳이 따지면 동기화로 보는 편이 타당하겠습니다. 보통 원자성은 나눌 수 없는 단일 연산에 대해 부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학술적인 내용과는 별개로 '코드 구간에 대한 원자성 보장' 같은 표현이 비교적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
- 0
- 1
- 8
Q&A
필수 실습 (최댓값을 반환하는 함수)
아니오. 부족할 것은 없습니다. 잘 하셨습니다. 😄
- 0
- 2
- 18
Q&A
아......ㅠㅠ
애석하게도 강의를 다시 녹음하는 방법 외에 근본적인 대안은 없는 것 같습니다. ㅜㅜ이퀄라이저 설정을 통해 필기 음이 들리는 구간 대역의 볼륨을 줄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그리고 내년 중 전면 재촬영 하는 방법으로 보완하겠습니다.
- 0
- 2
- 14
Q&A
버퍼 내 엔터
메모리를 직접 확인하신 것인가요? 0x00이라는 것을 확인하신 방법과 본인의 코드를 알려주시면 다시 확인해보겠습니다. 윈도우나 VC 업데이트로 라이브러리가 변경되면서 달라지는 것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본인의 코드개발환경 (Visual Studio 버전, Windows OS 환경)등을 알려주시면 확인하고 답변을 올리겠습니다. 😄
- 0
- 1
- 21
Q&A
맥에서 Window 가상화 프로그램 사용 문의
네, 가능합니다. 다만 환경을 구성하는 부분은 본인 스스로 조금 더 찾아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리 어려운 것은 아닐 것이며 ChatGPT 같은 AI 서비스의 도움을 받으면 생각보다 쉽게 해낼 수 있습니다. 😄
- 0
- 3
- 17
Q&A
주소록 실습 3단계에서 막혔어서 조언을 구하려고 질문 드립니다.
원래 알고 나면 허무한 것들이죠. OOP라는 관념도 그러하고요. 너무 어렵게 생각했다는 것 자체는 깊이 사유했다는 방증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니 잘 하신 것이죠.이와 같은 실습 혹은 이론을 알 수 있는 것이 '디자인 패턴' 입니다. 그러나 정작 어느 정도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지 않다면 왜 이런 복잡한 구조를 만들어야 하는지 의문이 생깁니다. OOP의 늪에 빠져 고생을 좀 하지 않으면 말이죠.결국 지금 해야 할 일은...정답이 없는 자신만의 OOP 경험을 쌓으세요. 어떤 결과를 얻기 위해 클래스가 3~4개면 된다 생각할 수 있으나 또 누군가는 10개가 넘는 것이 맞다 할 수 있습니다. 지루한 논쟁이 이어질 것이며 소위 클린 코드에 대해 논하게 될 것입니다. 어떻게 생각하면 사람 발목잡는 이론일 수 있지요. Just do it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다양한 실패의 경험이 필요합니다.그 경험을 기반으로 다시 디자인 패턴을 공부하기 바랍니다. 그리고 지금은 정답을 찾으려 하지 말고 많은 사람들이 좋다 하는 것들에 대해 왜 그런 것인지 의문을 갖고 분석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결국 정답은 대략 한 10년 가까운 경험이 쌓인 어느 날에 스스로 찾게 될 것입니다.제 인생에 C언어가 들어온 것이 1992년이었고 C++가 들어온 것은 1998년 이었습니다. 그런 저에 OOP에 대해 물어 본다면...지금도 답변이 모호합니다. 어쩌면 그저 학술적 관점의 논쟁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저도 아직은 답을 모르겠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그 답이 딱히 중요한 것 같지도 않습니다. 제 의견이 하나의 경우로 참고가 되기를 바랍니다. 😄
- 0
- 2
- 16
Q&A
Host범위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보통 Host는 대부분 End-point 입니다. 그런 이유로 전통적인 관점으로 보자면 스위치를 Host라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스위치라 하더라도 IP주소를 부여 받아 스스로 End-point처럼 작동(예를 들어 업데이트 다운로드 같은 행위)한다면 개념상 Host 불러도 무방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IP주소를 부여 받아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기능이 포함된 모든 것들을 Host로 보는 편이 이해에 용이하다 보고 있습니다.스마트 폰으로 게임을 할 수 있는 경우와 전화기가 포함된 닌텐도 스위치는 정체성이 서로 다를 수 있으나 기술을 이해하는 관점에서 결과적으로 둘은 같다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이런 저의 생각에 동의해주지 않으실 분들도 계실 것이며 무엇보다 '전통적 관점'과는 거리가 있습니다.PC에 Windows 11 OS를 설치하고 NIC 여러 개 설치해 스위칭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면 이 PC는 스위치 일까요? 장치의 정체성은 그 목적에 따라 결정될 것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0
- 2
- 25
Q&A
소멸자 가상함수 질문
그렇게 하지 않으면 구조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소멸자는 해당 객체의 인스턴스가 정리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호출되어야 합니다. 반대로 생성자가 파생 클래스 인스턴스를 생성하더라도 상위 계층 모든 생성자가 호출되고 있습니다. 같은 이유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문법이 그러합니다. 😄
- 0
- 2
- 23
Q&A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영상에 문제가 있는 부분이 있나 보네요. 어떤 차시의 어느 지점인지 알려주시면 다시 확인해보고 조치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 0
- 2
- 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