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on
·
737
·
Edited
0
loginV4 컨트롤러 메서드에서
return에 "redirect:"+redirectURL로 설정을 해주면
로그인 버튼을 눌렀을 시 redirect: 와 @RequestParam에서 날라온 URL을 변수로 저장해둔 redirectURL,즉 items가 합쳐서 items 페이지로 가지는걸로 이해를 했습니다
그래서 웹에서 검사를 해보았는데
/login?redirectURL=/items 이 부분이 302 상태코드로 뜬것이 리다이렉트가 되어서
->
items의 화면으로 대체 된거고 그리하여서 items의 화면은 200 으로 온걸로 이해 하면 될까요?
Answer 1
2
안녕하세요. 우현이 내게 오나봐님, 공식 서포터즈 David입니다.
'/login?redirectURL=/items' 로 요청 했는데, 302 응답이 왔습니다.
302 응답의 location 헤더 필드의 값으로 /items가 들어있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브라우저는 302 응답이 오면 응답의 location 헤더 필드의 값으로 GET 요청을 보냅니다.
따라서, '/items'로 요청하게 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200 상태코드가 응답으로 전달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