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on
·
345
1
vagrant up 과정에서는 아무 에러도 없었습니다.
vagrant ssh k8s-master로 붙자 홈 디렉토리가 /home/vagrant 였는데, 여기에 join.sh 가 없습니다.
엉뚱하게 /root/ 에 join.sh 파일을 포함한 여러 Vagrantfile에서 설정/생성한 디렉토리/파일 들이 들어가있는걸 확인했습니다.
제 생각에는 vagrant up 하는 시점에서는 $HOME 환경변수가 /root/ 로 되어있는 것 같구요, 그래서
kubectl get pod -A
명령어도 sudo 붙여야만 동작하고 worker node들도 확인되지 않습니다. (/root/join.sh 파일을 억지로 /home/vagrant 로 꺼내와도 마찬가지입니다.)
스크립트에 이슈가 있지않나 싶은데, 의견 부탁드립니다.
Answer 1
0
안녕하세요.
설치는 모두 root권한으로 동작합니다.
vagrant ssh 로 접속하면 vagrant 유저로 접속되기 때문에 root로 변경하셔야 되요.
docker나 kubeadm설치가 모두 root를 요하고요, 제 설치와 실습은 모두 root로 합니다.
네 master하고 모든 node들에서 su root 하고나서 작업했더니 됐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