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on
·
121
0
영한님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질문글을 작성합니다.
조만간 QueryDsl 강좌가 오픈되면 설명이 되어 있을 것 같지만 그 전에 미리 한가지 문의드려요.
책을 보면 프로젝션 방법 3가지가 적혀 있는데요.
3가지의 방식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더라고요..
혹시 3가지 중 가급적 이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거나 하는 방식이 있을까요?
그냥 기호대로 사용하면 될런지 궁금합니다.
ps : QueryDsl 은 언제 오픈될런지요?
Answer 1
0
안녕하세요. 아리마님^^
Setter(bean)를 사용하는 방법, Field에 바로 주입하는 방법, 생성자를 사용하는 방법 이렇게 3가지를 책에서 설명드렸습니다.
모두 장단점이 있어서 기호대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아요.
예를 들어서 Field는 Setter를 안만들어도 된다는 장점이 있고, 생성자는 명확하게 생성자를 통해서 주입받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신에 생성자를 만들어야 하니 정말 단순할 때는 좀 귀찮아집니다. ㅎㅎ
사실 귀찮은 부분을 제외하면 생성자 방식이 가장 올바른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객체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명확히 알 수 있고, Setter를 노출하지 않아도 되니까요. 그런데 정말 단순한 DTO를 조회할 때는 생성자를 만들어야 하는 것 자체가 또 코드 몇줄을 더 짜야해서, 좀 고민이 됩니다. 그래서 막상 개발할 때는 이것저것 섞어서 사용하는 편입니다.
결국 기호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Querydsl은 12월 말 오픈 목표를 하였으나, 내용을 좀 더 보강해서 1월 중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크리스마스 이브부터 열심히 촬영하고 있습니다. ㅠㅠ)
고맙습니다! 2019년 마무리 즐겁게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