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on
·
26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실무에서의 동시성 문제에 대해서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현재 외부 API를 사용하는 서비스를 개발 중인데, WebClient, RestTemplate를 사용하여 개발 중에 있습니다.
구글링 및 Claude MCP를 사용하여 검증 했을 때에는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동시성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없다고 하는데,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동시성 문제에 완전히 자유로운 건가요? 아니면 특정 상황에서는 동시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건가요?
만약 발생할 수 있다면, 어떻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서 확인 할 수 있을까요?
Answer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rudwl1005님, WebClient와 RestTemplate를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는 동시성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이들은 각각 비동기적(non-blocking) 및 동기적(blocking) HTTP 클라이언트로 설계되어 있어,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환경 설정이나 코드 구현에 따라 동시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 스레드에서 동일한 RestTemplate이나 WebClient 인스턴스를 잘못 공유하여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동시성 문제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JUnit과 같은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다양한 스레드 환경에서의 시나리오를 만들어 동시 요청을 처리할 때의 행동을 관찰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ExecutorService를 사용하여 다수의 스레드에서 동시에 외부 API를 호출하도록 테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이나 서드파티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모킹 기능을 활용하여 동시성 시나리오를 좀 더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있음을 기억하세요.
더 구체적인 테스트 코드 작성 방법 및 동시성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설정이 필요하다면 관련 라이브러리의 공식 문서나 커뮤니티에 문의해 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추가로, 관련된 학습 방법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학습 방법에 관한 자주 묻는 질문 링크를 참조하세요.
좋은 학습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