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on
·
41
0
안녕하세요. 실제 투입 공수 산정 후 맨먼스 구성을 할텐데
프로젝트 볼륨이나 정확한 기획 범위/디자인 범위가 나와야지
산정할수 있을거 같은데.. 대부분 SI 프로젝트가 그렇듯 프로젝트 볼륨 파악이 정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하잖아요?
그럴경우 좀더 수익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 멤버스 구성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 턴키 방식일 경우 인력소싱 비용 + 관리비 등등도 포함되어 계약이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이런 비용 산정을 잘 할 수 있는 방법도 궁금합니다.
Answer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서우님.
프로젝트 볼륨이나 기획/디자인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맨먼스를 구성하는 것은 실무에서 종종 발생하는 도전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수익 리스크를 줄이고 멤버스 구성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몇 가지 팁을 공유드리겠습니다.
초기 단계에서의 유연성 확보: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사용될 리소스의 ‘상한선’을 설정하여 유연성을 확보합니다. 이를 통해 규모의 변동이 있더라도 예산 초과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타이핑과 피드백 루프 사용: 초기 프로토타입과 피드백 루프를 통해 요구사항을 더 명확히 하고,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맨먼스 산정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위험 관리: 프로젝트의 모호성을 인지하고, 리스크 관리 계획을 미리 세워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예기치 않은 문제에 대한 대비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예비 비용 설정: 예측 불가능한 범위 확장을 위한 예비 비용을 책정해 둠으로써, 잠재적인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또한, 턴키 방식 계약에서의 인력소싱 비용 및 관리비 산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비용 산정 템플릿 활용: 회사 내 혹은 업계에서 사용하는 표준 비용 산정 템플릿을 활용하여, 누락 없이 항목을 짚어볼 수 있습니다.
시장 조사 및 벤치마킹: 유사한 프로젝트나 업계 평균 비용을 참고하여 현실적인 비용 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 의견 수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여, 보다 정확한 비용 추정이 가능합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향후 프로젝트 계획에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래 유사한 사례에 대한 기존 답변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이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질문드립니다. - 비전공 기획자 및 관리자를 위한 IT 필수 지식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지식 공유자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