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600원
로봇병정
2025-02-161521989선생님 백엔드 성능 관련된 강의가 2개인데 이 강의에서 이전강의에 대한 내용이 정리되어 있나요 아니면 이전 강의를 듣고 이 강의를 듣는게 더 좋을까요?
k Live with
2024-12-161462289안녕하세요! 백엔드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하기 완강하였습니다. 그 때도 질문을 드렸었지만, 백엔드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하기는 java를 몰라도 artillery를 이해하고 테스트 하는데 문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성능 개선 강의의 경우에 java를 알아야할까요? 아니면 이전 강의 처럼 jave를 몰라도 이해할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이준형(Foo)2024-12-18387126k Live with님 안녕하세요~ 이번 강의는 이전 강의보다는 코드 레벨에서 설명이 되는게 추가되긴 했지만, 저는 java를 몰라도 수강할 수 있지 않나 싶긴합니다. ㅎ.. 이것도 마찬가지로 판단해보시려면 예제로 사용되는 코드를 보시면 좋을 것 같은데요, https://github.com/lleellee0/shorten-url-initial/issues 여기에 예제들이 있는데요, 이중에서 자바 코드로 작성된 내용 중 아래 내용이 어려울만한 내용입니다. https://github.com/lleellee0/shorten-url-initial/issues/8 https://github.com/lleellee0/shorten-url-initial/issues/10 https://github.com/lleellee0/shorten-url-initial/issues/11 해당 내용도 자바 코드로 복잡해보이겠지만, 슈도 코드처럼 이해하시면 내용을 이해하는데에는 크게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코드를 그대로 활용하는건 지난번 강의보단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JPA 같은 ORM 기술을 활용하기도 해서 유사한 동작을 하는 코드를 직접 작성하셔야 할 수도 있습니다~ k Live with님께서 위에 제가 이야기드린 내용 참고해보시고 유사한 로직을 nest.js로 작성할 수 있을 것 같은지 한번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부맛있다
2024-06-201296726선생님 혹시 "백엔드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하기" 강의와는 어떤점이 다른것일까요? +답변 감사합니다! 바로 구매 하겠습니다!
이준형(Foo)2024-06-21348592공부맛있다님 안녕하세요~ 기존 업로드됐던 "백엔드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하기"의 경우 말 그대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과 함께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테스트 해보는 것" 자체에 초점을 맞춘 강의입니다. artillery를 사용해서 여러가지 성능 테스트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지만, 성능 개선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는 않습니다. 반면 이번에 업로드한 "백엔드 애플리케이션 성능 개선하기 - 기초편"의 경우 말 그대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개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강의입니다. 여기서 성능 테스트는 이미 할줄 안다는 가정하에 설명을 하고 있고, 개선이라는 것 자체가 개선 전후의 성능을 측정해봐야하기 때문에 성능 테스트를 하는거지 강의에서 성능 테스트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답변이 되었을까요? 또 궁금한 내용 있으면 질문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_ _)
요니
2024-06-181294524성능개선 기초편이 있으면, 추후 다음 편도 강의 제작 예정 이신지 궁금합니다!
이준형(Foo)2024-06-18347721요니님 안녕하세요~ 말씀하신대로 추후 강의 제작 예정입니다. '강의 소개' 영상의 1분 43초부터 나오는 내용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 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EB%B0%B1%EC%97%94%EB%93%9C-%EC%95%A0%ED%94%8C%EB%A6%AC%EC%BC%80%EC%9D%B4%EC%85%98-%EC%84%B1%EB%8A%A5%EA%B0%9C%EC%84%A0-%EA%B8%B0%EC%B4%88%ED%8E%B8&unitId=225591 +) 프론트엔드 강의도 기초편을 먼저 냈는데 책 마무리 + 책에 대한 강의 제작으로 우선순위가 좀 밀렸습니다. ㅠ 올해 중으론 프론트엔드 강의 역시 이어지는 내용 강의로 제작 예정입니다.

로봇병정님 안녕하세요~ 만약 스트레스 테스트를 한번도 해본적이 없다면 이전 강의를 먼저 수강하는걸 추천드리고, 이미 해본 경험이 있다면 이 강의를 바로 수강해도 괜찮습니다. 다만 이 강의에서 다루는 성능 테스트 툴은 artillery입니다. 물론 다른 성능 테스트 툴을 써봤다면 사용이 어렵진 않을겁니다~ 또 궁금한 내용 있으면 질문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